소개글
"척도 4개를 이용하여 각 척도별 해당되는 설문항목을 만드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척도의 개념
2.1. 척도의 정의
2.2. 척도의 필요성
3. 척도의 분류
3.1. 명목 척도
3.2. 서열 척도
3.3. 등간 척도
3.4. 비율 척도
4. 척도를 이용한 설문 문항 작성
4.1. 명목 척도를 이용한 설문 문항
4.2. 서열 척도를 이용한 설문 문항
4.3. 등간 척도를 이용한 설문 문항
4.4. 비율 척도를 이용한 설문 문항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과학에서 널리 이용되는 연구 방법 중 하나로는 설문조사 방식(Survey method)이 있으며, 연구자는 적절한 설문 항목을 구성하고 설문 대상이 되는 응답자에로부터 설문의 응답을 수집하게 된다. 이때 연구자는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측정(Measurement)의 항목 내지 요인을 생각하고, 해당 측정 항목에 가장 적절한 척도(scale)를 선택하여 설문지를 구성해야 한다. 설문조사에서 측정이란 연구대상이 가진 여러 특성에 대하여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 이때 그러한 숫자가 어떠한 성질을 갖는지 – 단순한 구분(categorization)의 역할을 하는지 또는 그 절대적이며 수량적인 크기가 의미를 갖는지 등에 따라 척도의 유형을 선정해야 하는 것이다.""
2. 척도의 개념
2.1. 척도의 정의
척도의 정의는 "측정을 위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변수들의 값을 부여하는 방법을 척도라 하며 크게 정성적(질적), 정량적(양적)으로 나눌 수 있다. 척도는 측정 대상의 특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단위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척도는 측정을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척도의 수준이 상승하면 변수가 가진 정보의 양도 상승하게 되고 자료수집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모된다.
2.2. 척도의 필요성
척도의 필요성은 사회과학에서 널리 이용되는 연구 방법 중 하나로 설문조사 방식(Survey method)에서 특히 중요하다. 연구자는 적절한 척도를 선택하여 조사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학이란 세상의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을 수치화하여 분석하는 학문인 바, 수치화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하는 여러 데이터들을 수집해 분석하게 하는 기준으로 척도가 필요하다. 즉 척도를 이용해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를 양적 자료(quantitative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사회과학에서는 모호하고 주관적일 수 있는 측정 대상의 성질을 객관적이고 설득 가능한 형태로 제시할 수 있도록 조작화(operationalization)하는 과정에서 척도가 활용된다. 이때 단일 문항으로만 그를 측정하지 않고 여러 개의 문항을 함께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합성 측정(composite measures)의 형태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설문을 통해 개념이 갖고 있는 모호성을 줄이는 한편 개념이 내포하고 있는 여러 차원(dimension)에 대해서는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척도는 세상의 다양한 현상을 수치화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도구라고 할 수 있다.
3. 척도의 분류
3.1. 명목 척도
명목 척도는 측정 대상의 속성을 명목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척도이다. 즉, 측정 대상의 속성을 ...
참고 자료
조사방법론 SPSS UCINET 활용, 최창현, 학현사, 2011
조사방법론 및 SPSS 통계분석, 이종환, 2010.
김호정(외), 순서화 로짓모형(Ordered Logit Model) : 설문조사에 적용되는 척도의 종류, 국토, 2007.8.
이학식(외), 소비 관련 감정척도의 개발, 마케팅연구, 2002
홍수연(외),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유형 분류를 통한 감성척도 연구, 감성과학, 2009
강현곤(외), 경영통계, 한경사, 2017
이홍배(외), 현대경영통계, 피앤씨미디어,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