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암 간호진단의 약물에 대해 작성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포증식과 암세포
1.1. 암세포의 특성
1.2. 발암현상
1.3. 암의 전이
2. 폐암
2.1. 원인
2.2. 병태생리 및 유형
2.3. 증상 및 징후
2.4. 진단
3. 폐암의 치료
3.1. 수술요법
3.2. 방사선 요법
3.3. 화학 요법
3.4. 면역요법
3.5. 레이저 요법
3.6. 광선요법
3.7. 기도내 스텐트 적용술
3.8. 한냉치료
4. 간호사례
4.1. 일반적 사항
4.2. 질병에 대한 정보
4.3. 진단적 검사 및 결과 해석
4.4. 약물치료 현황
4.5. 간호문제 및 중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포증식과 암세포
1.1. 암세포의 특성
인체 내 세포는 성장과 분열 및 소멸을 조절하면서 세포수의 균형을 유지한다. 정상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대부분 다시 회복하여 본래의 역할을 하지만, 정상세포로 회복되지 않으면 소멸하게 된다.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비대(hypertrophy)라 하고, 세포의 숫자가 증가하여 조직이 커지는 것을 과형성(hyperplasia)이라 한다.
신생물(neoplasia)은 새로운 성장이라는 뜻으로, 세포분열을 억제시키는 신호가 없거나 이 신호가 변형되어 세포가 계속적으로 분열하여 증가하는 것이다. 암은 아직 그 발생원인과 기전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생물학적 성상이 복잡하여 정의를 내리기가 어려우나,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정상적인 통제기능이 소실되고, 무절제한 방식으로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하는 특징이 있다. 즉, 암세포는 지속적이며 빠른 세포분열, 미분화 형태, 높은 핵 대 세포질 비율, 분화 기능 상실, 세포의 응집력 저하, 침습 및 전이 가능성, 접촉억제 결여, 정배수체가 아닌 특성을 가진다.
1.2. 발암현상
발암현상(carcinogenesis, oncogenesis)이나 악성세포로의 변환과정은 3단계(발단기, 증진기, 진행기)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발단기(Initiative period)는 암 발생의 첫 번째 단계로서 발암물질인 화학물질, 생물학적 물리적 인자가 세포 내 핵으로 들어와 DNA의 분자구조를 바꾸어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변하게 한다. 순수 발암물질은 세포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일으키는데, 이를 개시자(initiator)라고 부른다.
다음으로 증진기(Promotional period)는 정상세포가 발암물질로 인해 암세포의 특성을 갖게 되고, 성장이 빨라지면 종양을 형성한다. 암세포 발단부터 명백한 종양으로 발달하기까지의 기간을 잠복기라고 부르며,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린다. 발단이 된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촉진자(promoter)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호르몬, 약물, 화학물질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진행기(Progressive period)는 암이 1cm(세포 10억 개)로 자라면 건강문제를 유발한다. 초기에는 확산에 의해 종양의 중심부위에 있는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지만, 1cm 크기의 종양은 확산만으로 중앙부위까지 혈액을 공급할 수 없어 자체 혈액공급체계를 갖춘다. 종양은 중앙부위로 혈액을 공급할 수 있는 종양혈관 신생요소(tumor angiogenesis factor, TAF)를 만든다. TAF는 주변의 혈관을 자극하여 종양에 새로운 혈관이 형성되도록 하는 물질이다. 종양세포는 계속 분열하면서 원래의 발단이 된 암세포와는 또 다른 일련의 새로운 악성세포를 만들게 된다. 정상세포에서 변형되어 만들어진 종양을 원발성 종양(primary tumor)이라고 한다. 그 종양은 확산되어 다른 부위로 전이될 수 있다.
1.3. 암의 전이
암세포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종양이 원발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확산해서 성장할 수 있는 전이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원발부위에 처음 발생한 종양을 원발성 또는 1차성 종양이라 하고, 전이된 종양을 속발성, 2차성 또는 전이성 종양이라 한다. 암이 전이되는 주요 경로에는 직접 확산, 혈행성 전이, 림프성 전이, 착상 또는 이식성 전이 등이 있다.
직접 확산은 암에서 나오는 효소에 의해 암세포가 인접한 주위조직으로 침습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근육이나 결체조직이 장벽 역할을 하지만, 점차 암세포가 주위조직으로 퍼지게 된다. 혈행성 전이는 암세포가 혈관 내로 들어와 전신으로 순환하다 다른 장기에 착상하여 증식하는 것이다. 림프성 전이는 혈행성 전이와 유사한 과정으로 암세포가 림프계를 통해 이동하여 다른 부위에서 증식한다. 착상 또는 이식성 전이는 암세포가 장막을 뚫고 체강 내의 장액을 통해 다른 장막 표면 부위에 착상하여 여러 결절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고형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50~60%에서 전이가 발견되며, 암 진단 시 전이가 있는 경우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암세포의 전이 능력은 암 진행 및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2. 폐암
2.1. 원인
폐암의 원인은 만성적인 자극 또는 염증 유발물질의 흡입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은 흡연이며, 폐암 사망의 85%가 흡연에서 기인한다.
폐암의 위험은 흡연 기간, 1일 흡연량, 흡입의 깊이, 타르와 니코틴 함량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파이프와 시가와 같이 필터가 없는 담배의 흡연은 위험을 가중시킨다. 금연을 하면 폐암 발생 위험이 크게 감소하며, 중년 이전에 금연하면 흡연으로 인한 폐암 발생 위험이 90% 이상 감소한다.
간접 흡연 또한 폐암의 유발 요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동차, 식당, 사무실과 같이 담배 연기에 노출되는 폐쇄된 환경에서의 간접 흡연도 폐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그 밖에도 석면, 베릴륨, 크로뮴, 석탄추출물, 코발트, 산화철, 머스터드 가스, 석유추출물, 방사선, 타르, 니켈, 우라늄 등의 만성적 노출도 폐암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벤조피렌과 탄화수소를 포함한 대기 중 또는 산업장의 오염도 폐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비타민A 섭취 부족도 폐암 발생과 상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예방과 치료 효과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다. 유전적 소인도 암 발생의 위험 요인이며, 폐암 환자의 가족에서 폐암이 발생할 비교위험도는 1.3~5.3배 정도로 추정된다.
COPD와 결핵 같은 만성 호흡기 질환도 폐암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병태생리 및 유형
폐암은 조직형에 따라 크게 소세포성 폐암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구분되며, 폐암의 병태생리 및 유형은 다음과 같다.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Epidermoid])은 전체 폐암의 30~35%를 차지하며, 기도상피에서 발생하고 공동형성 및 기관지 폐색으로 인한 속발성 감염이 발생하므로 조기에 증상이 나타난다. 흡연과 관련이 크며 남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지만 전이는 잘 되지 않는다. 편평세포암의 경우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선암(Adenocarcinoma)은 전체 폐암의 35~45%를 차지하며, 기존 반흔이 있는 폐조직에서 발생한다. 흡연과 관련이 없으며 여성에게 더 흔하...
참고 자료
문사. 성인간호학 제 7판 상권. 황옥남 외.
약물조사: KIMS
http://www.kimsonline.co.kr/
서울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
Kim, Y. ki, Lee, Y. M., Kim, K. up, Uh, S. T., Kim, Y. hoon, & Park, C. S. (2004). Clinical Experience of Photodynamic Therapy in Five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https://doi.org/10.4046/trd.2004.57.1.72
전진선, 추일연, 정한길, 김률 and 이순태. (2015). 폐암 환자에서 화학방사선요법 후 발생한 연하실신. 대한신경과학회지, 33(4), 331-333.
Lewis 외 3명 (2015), 성인간호학 [상], 501~519p,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폐암 [lung 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접속일 2022.04.0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0096&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폐암 [lung cancer]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접속일 2022.04.0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395&cid=60406&categoryId=60406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말기암 환자의 통증(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 접속일 2022.04.05 https://sbhosp.seoul.go.kr/archives/14738
이동숙 외 편저(2019),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54~255p
김선아 외 공저, 「정신간호총론 제8판, 수문사, 2020, 171~179p
VSIM, Julia Morales and Lucy Grecy_part 3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홍은영 외(2020). 간호사를 위한 병리학. 수문사
MEG GULANICK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박은영 외. 현문사. 2019.
송수미, 소향숙 and 안민정. (2014). 항암화학요법 환자에게 적용된 주요 간호진단, 간호결과 및 간호중재의 연계성 확인. 성인간호학회지, 26(4), 413-423.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