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브래드포드법

  • 1
  • 2
  • 3
  • 4
  • 5
  • 6
>
최초 생성일 2024.09.13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브래드포드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단백질 정량 실험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및 이론
1.2.1. Bradford 방법
1.2.2. Lowry 방법
1.2.3. Biuret 방법
1.3. 분광광도계의 구조와 기능
1.3.1. 분광광도법의 원리
1.3.2. 분광광도계의 구성 및 특징
1.4. 실험 방법
1.4.1. 실험-1: BSA 표준곡선 작성
1.4.2. 실험-2: Phosphorylase b 표준곡선 작성
1.5. 실험 결과
1.5.1. 표준곡선 작성
1.5.2. 표준용액의 wavelength scan
1.5.3. 미지시료의 농도 계산
1.6. 실험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단백질 정량 실험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완충용액의 특성을 이해하고, 세포의 파쇄방법을 익힌 후, 단백질 정량 방법과 원리를 이해하고, bradford법을 이용하여 단백질농도를 계산해 보는 것이다.""


1.2. 실험 원리 및 이론
1.2.1. Bradford 방법

산성용액에서 Coomassie brilliant blue 염료는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인 arg, trp, tyr, his, phe에 결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염료의 최대 흡광도가 465nm에서 595nm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595nm에서의 흡광도는 단백질의 농도와 비례하게 된다. 이 방법은 발색반응이 2분 이내에 완결되며 1시간 까지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빠르고 간단한 단백질 정량법이다. Bradford 방법의 감도는 Lowry 방법보다 좋으며, 미량 정량법을 사용하면 1~20μm의 단백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비단백질 성분들에 의한 방해도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Triton X-100과 황산도데실나트륨(SDS)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Bradford 방법은 빠르고 비용이 낮으며 높은 감수성을 가지고 있어 단백질 정량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1.2.2. Lowry 방법

Lowry 방법은 Coomassie brilliant blue 염료의 흡수 파장과 달리 포스포몰리브덴산을 함유하는 착화합물 시약(페놀 시약, Folin 시약, Lowry 시약, Folin-Ciocalteau 시약)을 이용한다.

Lowry 방법에서 생기는 청색은 뷰렛 반응에서와 같이 Cu2+가 펩티드 결합과 반응하는 데 기인되며, 포스포몰리브덴산을 함유하는 착화합물 시약을 단백질에 있는 티로신과 트립토판 잔기들이 환원하는 데도 기인된다. Cu+가 폴린(Folin)시약과 반응하면 분광학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진한 색소물질을 형성한다.

Lowry 방법의 민감도(약 10ug/ml)는 뷰렛 반응보다 100배 정도나 높다. 그러나 단백질의 종류마다 시스테인, 티로신, 트립토판의 양이 같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소의 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등의 많이 연구된 단백질에 대한 평가가 로리법으로 이루어졌는데, 농도의 함수로 표준 곡선의 작성이 가능하다. 동시에 시험한 미지단백질의 로리반응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미지 단백질의 농도를 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결과는 대략의 값이다.

결과는 용액 ml 당 단백질의 mg으로 표시한다.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 가지 물질들(당류, 세제류, 일부 완충제 등)이 실험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 방...


참고 자료

한국생화학회 ,1999, 실험생화학, 개정3판, 탐구당, pp.171-184,197-206
부성희 외, 생화학실험, 청문각, pp. 71-79, 95-104
Ninfa, Alexander J (2010) Fundemental Laboratory Approaches for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wiley pp. 117-118
석수진. Dye-based protein detection. from https://www.thermofisher.com/kr/ko/home/life-science/protein-biology/protein-assays-analysis/protein-assays/bradford-assays.html
1. 한국생화학회, 실험생화학, pp53-64, pp197-206, 탐구당, 2004
2. 구자현 외 역, 의학생화학, pp65, 정문각, 2001
3. McMurry John, Organic Chemistry 7th Edition, pp1027-1039, Thompson Brooks/Cole, 200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