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의 기원에 대하여 설명해 보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언어의 기원
2.1. 신수설
2.2. 자연음 기원설
2.3. 신체 적응설
2.4. 도구 창조설
2.5. 유전설
3. 언어의 특성
3.1. 의사소통의 방향성
3.2. 의지와 본능의 차이
4. 언어의 기원에 대한 의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특징은 언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동물도 언어를 가지지만, 인간처럼 구체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이를 기록하고 또 예술성을 극대화하여 문학작품을 창작하기도 한다. 이러한 언어가 언제 인간에게 처음 시작되었는지 그 기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언어의 기원과 언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중에 가장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기원은 무엇인지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겠다.
2. 언어의 기원
2.1. 신수설
신수설은 기독교나 힌두교 등의 종교에서 신이 인간에게 언어를 부여했다고 믿는 것이다. 성경에도 "태초에 말이 있었다."는 언급이 나오고 있으며 힌두교에서는 "언어는 우주 창조주인 브라마의 아내, 사라스바티로부터 온 것이다."라는 내용이 이에 해당한다. 신수설이 올바른 언어의 기원이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갓 태어난 아이를 인간세계와 단절시켰을 때도 신의 능력으로 말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늑대아이와 같은 예에서 보듯이 유아기에 언어환경에 노출되지 못하면 아이가 말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신수설은 적절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2.2. 자연음 기원설
자연음 기원설은 인간의 언어가 주변에서 들리는 자연음을 모방하여 발...
참고 자료
김진우, 『언어의 기원』, 한국문화사, 2006.
스티븐 로저 피셔, 유수아 외 역, 『언어의 역사』, 21세기북스, 2011.
송대현. (2015). 언어의 기원에 관한 에피쿠로스의 견해. 철학논집, 42, 179-204.
권희상. (2001). 음성상징과 언어기원. 언어연구, 17(2), 5-38.
김유라, & 박창언. (2016). 루소의 언어교육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4), 185-200.
김경학, 언어의 이해와 활용, 신아사, 2017.
정한석 외, 기초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