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애착 이론은 아동의 성격 발달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관한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이다. 에인스워드의 "낯선 상황" 검사는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애착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이해하는 것은 아동의 성장과 복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애착의 개념과 유형
2.1. 안정 애착
안정 애착은 영유아가 보내는 신호에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영유아가 보호자에 대한 신뢰감을 갖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안전한 유대감은 영유아를 껴안거나 웃는 얼굴로 바라보는 것과 같은 행동을 통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생후 6개월 된 조카가 처음 보는 사람인 연구자를 보자마자 우는 모습을 보였지만, 연구자가 조카를 안고 웃으면서 분유를 먹이며 대화를 나누자 조카도 웃으며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와 조카 사이에 안정적인 유대감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안정 애착은 영유아와 양육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이는 영유아가 세상을 탐색하고 자신감을 기르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된다.
2.2. 불안정 애착
2.2.1. 회피적 애착
회피적 애착은 양육자가 아동의 정서적 필요를 반복적으로 거부하거나 무시하여 발생하는 불안정한 애착 유형이다. 이러한 아동은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을 피하려 하며, 부모의 도움을 거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부모의 무관심이나 거부, 불안한 환경에서 자란 아동에게서 회피적 애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은 낯선 상황에서도 부모에게 접근하지 않고 독립적인 행동을 보이며, 부모가 아이를 달래려 하면 더욱 피하려고 한다. 또한 정서적 반응을 최소화하고 자신을 돌보는 데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회피적 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성인이 되어서도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기 어려워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이는 어린 시절 부모의 반응이 일관적이지 않고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이다. 회피적 애착을 겪은 아동은 타인에 대한 불신과 수동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회피적 애착은 아동기에 형성된 불안정한 애착관계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성인기의 대인관계와 정서 표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회피적 애착은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애착 관계 형성을 위한 부모 교육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2.2.2. 저항적 애착
저항적 애착은 보호자가 영아의 기분이 좋을 때 놀아주고, 기분이 나쁠 때 영아와 놀아주는 것을 거부하는 상태를 말한다. 영아가 보호자에 대한 의존과 거부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불안정한 태도나 불규칙한 돌봄이 있을 때 저항적 애착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아가 보호자와의 갈등 상황에서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다가 다시 보호자에게 의지하려고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저항적 애착은 영아의 정서적 혼란과 불안정한 상태를 반영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영아의 성격 발달과 사회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3. 혼돈 애착
혼돈 애착은 양육자가 아기나 유아에게 먹이를 주지 않거나 함께 노는 것을 거부하면 유아가 양육자를 거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양육자의 일관성 없는 태도로 인해 유아가 혼란스러워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옆집에 사는 신혼부부가 한 살배기 아기를 키웠는데, 당시 아기의 아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