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경관무력증의 정의
자궁경관무력증은 자궁경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자궁경관이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자궁경관무력증이 발생할 시 개대된 자궁경관을 통해 양막이 돌출되기도 하며, 그 결과 조기양막파열로 인한 조산과 습관성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임신 2기에 임신이 중단되는 경우 10~20% 이상은 자궁경관 무력증 때문이다.
1.2.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적인 요인으로는 자궁경부의 선천적 이상이나 임신 중 태아의 자궁 내 약물 노출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산모가 임신 중 Diethylstilbestrol (DES)을 복용하여 태아기 때 노출되어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하여 짧거나 기형적으로 발육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후천적인 요인으로는 과거 분만 또는 유산 시 자궁경관 열상·손상, 소파수술이나 생검 시 과다한 자궁경관 확장, 자궁경부 원추 절제술과 같은 수술로 인한 손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호르몬 혹은 감염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자궁경관 조직의 구성 및 모체의 스트레스가 조기 자궁경관 개대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1.3.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은 전형적인 임상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대개 임신 14~28주 사이에 자궁경부가 통증 없이 저절로 열리게 되는 무통성 개대와 이슬, 양막의 팽윤이 있다"" 또한 질 출혈, 점액질 같은 질분비물의 증가, 요통, 골반통, 배변감, 질 압박감, 생리통과 유사한 통증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비특이적이며 정상임신으로 인한 증상과 유사하여 조기에 진단이 어렵다""
2. 자궁경관무력증의 진단
2.1. 임상적 증상
자궁경관무력증의 임상적 증상은 다음과 같다. 자궁수축이나 진통없이 자궁경부가 개대되기 때문에 특별히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임신 중 질 출혈, 질 분비물 증가, 골반의 압통, 생리통과 비슷한 통증, 요통, 배변감, 질 압박감 등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나 대부분 비특이적이며 정상임신으로 인한 증상과 유사하여 조기에 진단이 어렵다. 임신 14~28주 사이에 자궁경부가 통증 없이 저절로 열리게 되는 무통성 개대와 이슬, 양막의 팽윤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2.2. 진단적 검사
자궁경관무력증의 진단적 검사는 다음과 같다"
질식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경부의 길이, 소실 및 개대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정상적인 자궁경부는 임신 3기까지 길이가 견고하며 13~22주 정도에는 평균 35~40mm 정도가 되고, 32주가 되면 30mm 정도로 점차 짧아진다. 초음파 상 자궁경부 길이가 20mm 미만으로 관찰되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자궁 조영술(hysterograhy)을 통해 자궁경부가 넓어져 깔대기 모양을 하고 있거나 자궁경부 내구부가 소실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궁 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자궁경부의 안쪽 입구(내구)가 T, Y, V, U 자형으로 변화하고 결국 양막이 질쪽으로 돌출되어 파열되면 조산으로 진행된다.
Hegar 테스트는 자궁경관 확장기인 8번 크기의 Hegar를 자궁 내구 쪽으로 삽입했을 때 아무런 저항 없이 들어가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만 이 검사는 배란 시나 생리주기를 피해 시행해야 한다.
또한 트랙션 테스트를 통해 Foley 카테터를 자궁 내로 삽입한 후 카테터의 풍선 부위를 1cc로 부풀리고 잡아당겼을 때 자궁 내구를 쉽게 통과하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처럼 자궁경관무력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증상, 초음파 검사, 자궁 조영술, Hegar 테스트, 트랙션 테스트 등 다양한 진단적 검사가 활용된다"
3.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
3.1.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침상 안정, 수액요법, 그리고 자궁수축 억제제, 예방적 항생제, 스테로이드 투여 등이 있다.
먼저 침상 안정은 자궁혈류와 안정을 증진시켜 태아 하강 시 경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수액요법은 산부의 자궁 활동을 억압시키며, 특히 나트륨이 포함된 수액은 혈장을 증가시켜 혈관 수축을 감소시키고 옥시토신과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를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