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09.10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학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학교선택제의 쟁점과 과제
1.1. 학교선택제의 도입
1.2. 학교선택제의 현황
1.2.1. 외국의 학교선택제
1.2.2. 우리나라의 학교선택제
1.3. 학교선택제의 쟁점
1.3.1. 학교선택제 찬성 입장
1.3.2. 학교선택제 반대 입장
1.4. 학교의 기능
1.4.1. 삶의 공간으로서의 학교
1.4.2. 배움의 공간으로서의 학교
1.4.3. 사회화의 공간으로서의 학교
1.4.4. 직업 및 사회적 실천을 위한 학교
1.5. 미래학교
1.5.1. 진정한 교육의 실현
1.5.2. 경쟁 대신 협동과 연대
1.5.3.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수업 방식
1.6. 미래 교사의 역할
1.7. 미래 교실의 모습
1.7.1. 유연한 교실 배치
1.7.2. 거꾸로 학습
1.8. 미래 학교의 모습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학교선택제의 쟁점과 과제
1.1. 학교선택제의 도입

학교선택제는 학부모와 학생이 진학할 학교를 결정할 때, 행정적 절차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학생의 능력, 흥미, 적성, 진로 등에 따라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선택제는 학부모와 학생의 학교선택권 확대로 교육의 질이 높아져 만족도가 향상될 것이며, 교육의 권력구조가 교육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는 의미도 있다.

학교선택제는 공립학교를 기본 축으로 학부모와 학생의 학교선택권 보장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으며, 바우처, 차터스쿨, 마그넷스쿨, 개방등록제, 홈스쿨링, 공립과 사립 간 선택, 학구 내 및 학구 간 선택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1954년 미국 연방대법원은 브라운 판결(Brown v. Board of Education)을 통해 인종에 따른 학교 분리를 금지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일부 학교구에서는 '선택의 자유(freedom of choice)' 정책을 도입하였다. 18세기 Adam Smith, Thomas Paine, 19세기 John Stuart Mill 등에 의해 이미 논의되었던 학교선택제는, 1955년 Milton Friedman에 의해 본격적으로 주장되었다.

우리나라의 학교선택제는 1995년 5·31 교육개혁에서 수요자 및 학습자 중심교육이 부각되면서, 학부모 교육권이 법령에 반영되면서 도입되기 시작했다. 국민의 정부에서 자립형 사립고 시범운영, 참여정부에서 자사고 정책 유지, 이명박 정부에서 자율형 사립고 도입 등의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학교선택제가 등장하고 확대된 배경에는 학부모와 학생의 공교육에 대한 불만이 주된 원인이었다. 또한 소득과 재산의 불평등 심화, 경쟁과 효율성 등 시장경제 논리의 강화, 민족이 다양해지면서 이질성을 갖는 공동체 및 부모들의 요구 증가 등이 작용했다.


1.2. 학교선택제의 현황
1.2.1. 외국의 학교선택제

외국의 학교선택제는 다음과 같다.

네덜란드는 1917년 이후부터 중앙집권을 탈피하고 수요자 중심적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에 똑같은 재정을 지원하였고, 거주지 근처의 학교를 선택할 수 있다. 학교는 정부로부터 일부만 통제를 받았으며, 재정 및 자원의 배분과 관리 부분에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 출신 학생들은 이민자 학생이 적은 학교를 선호하고, 이민자 학생들은 비슷한 처지의 학생들이 많은 학교를 선택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들은 성적이 높은 학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는 교사자격증, 국가지정 중핵교육과정, 학업기준 등 일정 조건들만 충족한다면 누구나 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 모든 학교는 충분한 기금을 제공받고 종교적 자유도 보장받으며, 등록 학생 수에 따라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는다. 사립학교의 경우, 이러한 보조금이 학교 전체 재정의 약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립학교는 학생을 선발할 때,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덴마크의 학교선택제와 학교유형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일반학교와 엘리트 학교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미국의 바우처는 학부모와 학생이 정부로부터 교육비에 해당하는 바우처를 받아서 원하는 학교를 다닐 수 있게 하였다. 바우처는 2002년 클리블랜드에서 연방대법원이 합헌 판결을 내렸지만, 전국적으로 확대?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부모와 학생들이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

미국의 차터스쿨은 1991년 미네소타주에서 의결되어, 1992년 미국 최초로 세인트 폴 시티 아카데미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차터스쿨은 등록 학생 수를 기준으로 정부의 재정을 지원받으면서 일부 예외 규정이 허용되는 권한을 가진다. 차터스쿨은 교직원 인사권, 교육과정 편성권, 외부와의 계약 등이 가능한 법적 독립성을 부여받는다.

미국의 마그넷스쿨은 1968년 워싱턴주 터코마에서 처음 설립되었고, 과학, 수학, 예술, 외국어 등을 중심으로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다양한 인종의 학생들이 모일 수 있었다.

스웨덴은 1980년대 보수당이 평준화로 인해 사회통합, 계층변동의 활성화에 역행하는 증거들이 나오자, 신자유주의를 주장하면서 분권화 및 선택의 자유가 가능한 자유학교(사립학교)를 요구하였다. 정부는 설립자가 기본적인 요건만 충족한다면, 자유학교를 승인했고, 점차 확대되었으며, 경쟁원리가 도입되었다.


1.2.2. 우리나라의 학교선택제

우리나라의 학교선택제는 1995년 5·31 교육개혁에서 수요자 및 학습자 중심 교육이 부각되면서, 학부모 교육권이 법령에 반영되면서 도입되기 시작했다" 사립고 자율화 정책을 중심으로 보면, 국민의 정부는 자립형 사립고를 시범운영하면서 정책을 형성했고, 참여정부는 자사고의 시범운영을 연장하면서 정책을 유지하였으며, 이명박 정부는 자율형 사립고를 도입하여 기존의 자립형 사립고를 통합했다. 또한 여러 학교유형을 제시하며 학교 다양화라는 큰 틀에서 학교선택제를 추진하였다.

학교선택제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배경에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자리 잡고 있다" 중앙의 권한이 지방과 각급 학교로 이양되고, 국가학업성취도평가의 실시와 그 결과가 발표되면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책임이 점차 학교, 교사, 학부모에게 전가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학교선택제가 공교육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대두되었다.

학교선택제는 학부모와 학생을 교육수요자로 간주하면서 학교교육에 이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요자인 학부모 및 학생과 공급자인 학교 및 교사 간의 경제적인 논리가 작용하였다. 학교선택제는 선택과 경쟁이라는 경제적인 틀로 공급자인 학교와 교사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학교개혁을 도모하였다.

우리나라의 학교선택제는 1974년부터 실시된 고교평준화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명목으로 도입되었다" 공통적으로 공교육 불신의 대안으로 학교선택제가 도입 및 확대되었지만, 실제로는 특정 사회계층의 요구가 반영되었고, 교육학적 논리보다 정치학적 논리가 더 강하게 작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1.3. 학교선택제의 쟁점
1.3.1. 학교선택제 찬성 입장

학교선택제를 옹호하는 입장에서 보면, 학교선택제는 교사 및 학교 간의 경쟁을 유도하여 교육성과를 높이고, 다양하고 자유로운 학교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게 해주며, 경직된 학교에 혁신의 새바람을 불어넣어 교육 수요자인 학부모 및 학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먼저, Chubb & Moe(1990)는 이전의 교육개혁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은 효과가 미비했지만, 바우처는 단점이 없다고 주장했다. 공립학교는 학생들의 중퇴 및 폭력, 마약과 학업성취도 하락 등의 문제가 있는데, 그 원인을 공립학교들이 민주적 통제를 받기 때문이라고 했다. 반면 사립학교는 시장경제의 특징인 탈중앙화, 경쟁, 효율 등을 통해 자율성을 가지면서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강력한 리더십으로 학교를 이끌며, 전문성을 가진 교사와 학교조직 간의 협력을 발휘하여 효과적으로 운영된다고 보았다""Coulson(1999)은 교육서비스는 사기업 또는 비영리기관이 제공하고, 정부는 최소한의 공통교육과정을 정해주는 등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학부모와 학생의 결정이 정부의 관여보다 더 타당하며, 시장경제 시스템을 반영한 학교 간의 경쟁은 교육의 책무성을 높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1.3.2. 학교선택제 반대 입장

학교선택제 반대 입장은 다음과 같다.

학교선택제는 교육 평등성을 약화시키고 학교 서열화와 학교 간 격차를 심화시키면서 사회적 약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학생 선발을 위한 기준만 더욱 엄격해져 사교육을 부추기고, 실제로는 학생이 원하는 학교를 선택할 가능성이 낮아지며 사회 양극화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것이 학교선택제 반대 입장이다.

Gewirtz, Ball & Bowe(1995)는 학교가 사회정의와 공공성 실현을 위한 기관이고, 교육정책은 사회적 약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학교에 수요와 공급의 시장경제 논리를 적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학교선택제는 사회 및 문화 측면에서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학교 간 수직적 서열화와 격차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보았다. 사회계층 측면에서도 인종과 계층분리 현상이 심해지고 빈민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불평등 심화현상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부모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부모들보다 학교에 대한 정보 접근 및 수집 역량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Lubienski(2006)는 학교정보 접근 격차와 불평등과 같은 문제점을 시장경제의 역동성이 작용하면서 충분히 해결할 것이라고 학교선택제...


참고 자료

강영혜, 윤종혁, 김미숙, 이혜숙, 김남결(2005).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Ⅲ): 학교교육의 실태와 보완과제. 연구보고 RR 2005-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2009). 고등학교 선진화를 위한 입학제도 및 체제 개편 방안.
교육부(2019).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발표.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2007). 대한민국 교육 40년. 서울: 한스미디어.
김경근(2002). 학교선택제와 교육평등. 교육사회학연구 12(3). 1-23.
김경민, 이준호, 엄홍민, 박대권(2014). 서울시 고교선택제 아래서 학교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외부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2(2). 161-183.
김달효(2016). 공교육의 도전: 학교선택제. 서울: 문음사.
김수경, 김주영(2008).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교선택 정책논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4). 103-124.
김영화, 이정희(2003). 학부모의 학교선택 수요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3(1). 57-76.
김위정, 남궁지영(2014). 자율형 공․사립 고등학교의 성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27(2). 491-511.
김윤태 외(1978). 고교평준화 정책의 평가연구-1차년도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노종희, 박정애(1999). 학교선택제의 실시현황과 시사점. 교육행정학연구 17(1). 109-139.
박상은, 서봉언(2018). 대구 중학생의 고등학교 유형 선택 결정 요인. 지역사회연구 26(3). 285-311.
박선환, 안선회(2013). 고교다양화와 고교선택제에 따른 학교체제 변화 연구: 서울시 일반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0(4). 41-72.
변수용, 주영효(2012). 학교선택 결정요인과 효과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39(1). 5-33.
성기선(2005).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결과에 대한 비판검토. 교육사회학연구 15(3), 179-204.
송기창(2007). 학교선택제의 이상과 실상: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한 미국의 학교선택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3). 151-176.
오호영(2011). 대학민국 교육혁명, 학교선택권. 서울: 한마탕
윤정일, 송기창, 조동섭, 김병주(2008). 한국 교육정책의 쟁점.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윤초희, 안태희(2015).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선택 동기, 진로신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8). 131-157.
이광현(2007). 학교선택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PISA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7(4). 87-107.
이승주, 박소영(2020). 차터스쿨 도입이 공교육의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미국 캘리포니아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4(1). 143-163.
이정민, 박윤수(2021). 단성학교로의 자기선택과 학업성취도 효과. 응용경제 23(4). 5-33.
이주호, 홍성창, 박혜경(2009). 평준화를 넘어 다양화로. 서울: 학지사.
주현준, 정성수(2010). 서울시 교육청 학교선택권 확대 정책의 실효성 분석: 미국의 개방형등록제 분석 준거의 관점에서. 비교교육연구 20(4). 153-174.
차성현, 민병철, 김성식, 김준엽, 박소영, 변종석(2010). 고교 유형에 따른 학교효과 분석을 위한 패널조사 설계: 자율형 고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채창균(2010). 특목고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 분석: 수능 성적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0(3). 105-124.
한희숙, 이수정(2020). 선지원후추첨제에 기반한 고교평준화 정책이 고교 간 격차 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8(5). 29-51.
Bulman, R. C., & Kirp, D. L.(1999). The shifting politics of school choice. In S. D. Sugarman & F. R. Kemerer. (eds), School choice and social controversy: politics, policy, and law.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Carnoy, M., & McEwan, P. J.(2005). Do school vouchers lead to greater social equity? In J. Petrovich, & A. S. Wells. (eds). Bringing equity back: research for a new era in American educational polic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김안나, 정회욱 역(2008). 교육의 수월성과 형평성: 미국 교육개혁의 교훈. 경기도 파주: 교육과학사.
Chubb, J. E., & Moe, T. M.(1990). Polities, markets, and America′s school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Coulson, A. J.(1999). Market education: the unknown history. Transaction Publishers. 서은경 역(2005). 위기의 교육과 교육시장: 미국 교육의 숨겨진 역사. 경기도 파주시: 나남.
Coulson, A. J.(2009). Comparing public, private, and market schools: the international evidence. Journal of School Choice 3(1). 31-54.
Figlio, D.(2009). Voucher outcomes. In M. Berends, M. G. Springer, D. Ballou, & H. J. Walber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hool choice. New York: Routledge.
Friedman, M.(1983). Bright promises, dismal performance.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안재욱, 이은영 역(1994). 자유시장과 작은 정부. 서울: 나남
Friedman, M.(1995). The role of government in education. In R. Solo. (ed.), Economics and the public interest.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Gewirtz, S., Ball, S. J., & Bowe, R.(1995). Markets, choice and equity in education.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Godwin, R. K., & Kemerer, F. R.(2002). School choice tradeoffs: liberty, equity, and diversity.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Gorard, S., Hordosy, R., & See, B. H.(2013). Narrowing down the determinants of between-school segregation: an analysis of the intake to all schools in England, 1989-2011. Journal of School Choice 7(2). 182-195.
Hanushek, E. A., & Lindseth, A. A.(2009). Schoolhouses, courthouses, and statehouses: solving the funding-achievement puzzle in America′s public school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Harrison, M.(2005). Public problems, private solutions: school choice and its consequences. Cato Journal 25(2). 197-216
Henig, J. R.(1994). Rethinking school choice: limits of the market metaphor,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Kemerer, F.(2002). After Zelman: spotlight on state constitutional law.
Lindbom, A.(2010). School choice in Sweden: effects on student performance, school costs, and segreg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6). 615-630.
Lubienski, C.(2006). Incentives for school diversification: competition and promotional patterns in local education markets. Journal of School Choice 1(2). 1-31.
McEwan, P., & Carnoy, M.(2000).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rivate schools in Chile′s voucher system.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2(3). 213-239.
Moe, T. M., & Chubb, J. E.(2009). Liberating learning: Technology, politics, and the future of America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Nathan, J.(1996). Charter schools: creating hope and opportunity for America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eterson, P. E.(2009). Voucher impacts: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 M. Berends, M. G. Springer, D. Ballou, & H. J. Walber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hool choice. New York: Routledge.
Rangvid, B. S.(2008). Private school diversity in Denmark′s national voucher system.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2(4). 331-354.
Ravitch, D.(2011). The death and life of the great America school system. New York: Basic Books. 윤재원 역(2012). 미국의 공교육의 개혁, 그 빛과 그림자. 서울: 한국방송
Rossel, C. H.(2009). Legal aspects of magnet schools. In M. Berends, M. G. Springer, D. Ballou, & H. J. Walber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hool choice. New York: Routledge.
Scott, J.(2002). Charter schools, privatization and the search for educational empower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Sugarman, S. D., & Coons, J. E.(1980). How to end the public school monopoly. Business and Society Review 35. 29-33.
van Welie, L., Hartog, J., & Cornelisz, I.(2013). Free school choice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gap. Journal of School Choice 7(3). 260-291.
Vandenberghe, V.(2003). Private, government-dependent and public schools: an international effectiveness analysis. ECON Discussion Papers.
Viteritti, J. P.(2009). Voucher politics and governance. In M. Berends, M. G. Springer, D. Ballou, & H. J. Walberg.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hool choice. New York: Routledge.
Whitty, G.(2002). Making sense of education policy. London: Sage Publications. 김달효 역(2012).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비판: 교육정치학과 교육사회학의 관점. 서울: 학지사.
Whitty, G., & Edwards, T.(1998). School choice policies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n exploration of their origins and significance, Comparative Education 34(2). 211-227.
Zimmerman, J. M., & Vaughan, D. Y.(2013). School choice outcomes in post-Katrina Orleans. Journal of school Choice 7(2). 163-181.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태억(2014). 교육혁신을 위한 e-Learning, MOOC, Flipped Learning의 활용 전략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eejeon Suh(2011).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and Support Technologies in the Futur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2011, Vol.5, No.1, pp. 50-61
Jake Madden(2017). Building the Futur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Creativity Change Volume 3, Issue 1, May, 2017
Vasiliy Kolchenko(2018). Can Modern AI replace teachers? Not so fa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daptive Learning: Personalized Education in the AI age HAPS Educator 22 (3): 249-252. doi: 10.21692/haps. 2018. 032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9980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532508.pdf#page=1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