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APM이론에서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을 비교·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의 개념과 특징
1.1. CAPM의 개념과 가정
1.2. 자본시장선(CML)의 개념과 특징
1.3. 증권시장선(SML)의 개념과 특징
2.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의 비교
2.1. 위험 측정 방식의 차이
2.2. 포트폴리오 범위의 차이
2.3. 수익과 위험의 관계 설명 방식의 차이
3.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의 공통점
3.1. CAPM 이론에 기반을 둔 개념
3.2.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지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의 개념과 특징
1.1. CAPM의 개념과 가정
CAPM의 개념과 가정은 다음과 같다. CAPM은 Capital Asset Pricing Model의 줄임말로,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을 말한다. CAPM은 1950년 마코위츠(H.M. Markowitz)가 제시한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을 기반으로 재무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로, 자본시장이 균형 상태를 이룬다고 했을 때 기대 수익인 자본자산의 가격과 위험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이다. 이를 통해 증권 등의 자본자산의 수익률과 위험 사이의 균형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인 모형으로, 자산에 대한 투자 결정을 돕기 위해 기업의 가치를 계산하는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CAPM을 도출하는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 분산기준의 가정으로 투자자가 기대수익과 분산기준에 의해 포트폴리오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둘째, 동질적 미래예측의 가정으로 모든 투자자는 투자기간이 동일하고 미래에 대한 증권 수익률의 확률분포에 대하여 동질적으로 예측한다는 것이다. 셋째, 완전 시장의 가정은 자본시장에서의 자본과 정보의 흐름에 마찰이 없다는 것이다. 넷째, 무위험자산의 존재 가정은 모든 투자자들이 무위험 이자율 수준으로 자금을 얼마든지 차입하거나 빌려줄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균형시장의 가정은 자본시장이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균형 상태에 있을 경우에 거래되는 모든 자본자산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도록 형성된다는 것이다.
1.2. 자본시장선(CML)의 개념과 특징
자본시장선(CML, Capital Market Line)은 투자자들이 주식과 같은 위험이 내포되어 있는 위험자산과 정기예금이나 국공채 등과 같은 무위험자산 또한 투자대상에 포함시킬 경우, 균형상태의 자본시장에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과 위험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즉, CML은 포트폴리오 모형과 무위험자산을 섞은 모형으로, 위험자산만으로 구성할 때보다 무위험자산을 포함하여 더 효율적인 포트...
참고 자료
장영광 외, 현대재무관리, 신영사, 2014년
감형규, 재무관리, 유원북스, 2019년
이상호, 재무관리, 피앤씨미디어, 2014년
송상엽, 「재무관리」, 웅지, 2014
이의경, 「재무관리(이론과 응용)」, 제3판, 경문사, 2005
이희승, 논문 <자본자산가격결정 모형에 대한 연구>, 1988
윤평식, 「재무관리」, 제2판, 탐진,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