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서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서왕과 원탁의 기사
1.1. 아서왕 이야기
1.2. 기사도 정신과 중세 문화
1.3. 아서왕 전설의 시대적 배경
1.4. 아서왕 전설의 주요 인물
1.4.1. 아서왕
1.4.2. 랜슬롯
1.4.3. 멀린과 비비안
1.5. 아서왕 전설의 분석
1.6. 아서왕 전설의 현대적 의미
2. 문화와 예술의 사회사
2.1. 서론
2.2. 본론
2.3.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서왕과 원탁의 기사
1.1. 아서왕 이야기
멀린은 태어날 아들이 바로 아서 왕이라는 것을 알았다. 멀린의 말대로 골로이스는 얼마 못가 죽었다. 유더는 이그레이과 결혼했고 첫아들을 낳았다. 아기는 덕이 높은 사제에게 아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은 뒤 엑터 경의 집으로 보내져 그곳에서 자랐다. 유더 팬드래건은 아서에게 "신과 내의 축복이 내릴 것이다. 아서가 내 영혼을 위해 기도해 주기를 그리고 아서가 내 왕관을 물려받기를 바라노라."라고 말했다.
유더 팬드래건이 죽자 전국은 혼란스러워졌다. 왕이 사라지니 춘추전국시대처럼 혼란스러워졌고 각 영주들이 서로 왕이라고 나서는 형국이었다. 이에 백성들이 고통스러웠을 것이라 생각된다. 유더 팬드래건이 아서에게 왕관을 물려준다고 했지만, 각 영주들이 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전쟁이 일어날 것이 뻔했다.
대주교와 신부들이 기도하고 있을 때 하늘과 땅이 요란하게 흔들리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대주교가 성당 마당으로 뛰어가보니 바위 한가운데 커다란 칼이 꽂혀 있었고 칼에는 황금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바위에서 이 신검을 뽑아내는 자가 진짜 브리튼 왕으로 태어난 자로다." 아무도 신검을 뽑지 못했는데, 엑터 경의 집에서 자란 아서 왕자가 바위 앞으로 가서 신검을 잡고 조심스럽게 뽑아냈다. 신검이 뽑히는 순간 칼에서 환환 빛이 뿜어나왔다.
리오드그랜드 왕은 멀린의 부탁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아서 왕과 귀네비어 공주는 캐멀리아드 왕국에서 약혼식을 올리고 브리튼으로 돌아와 켄터베리 사원에서 성대한 결혼식을 올렸다. 백성들은 멋진 왕과 아름다운 공주의 결혼을 진심으로 축하했다.
원탁은 멀린이 가진 마법을 동원해서 만든 것으로 좌석이 열세 개인 둥근 테이블을 의미한다. 원탁의 기사가 되면 그들은 왕을 지키고 자신들의 명예를 위해 싸웠다. 원탁의 기사가 전사하면 그 자리를 차지하려고 전국에서 수많은 기사들이 몰려왔다. 그중 랜슬러트는 용감한 기사 중 한 사람이었다. 랜슬러트가 터퀸의 가슴을 노리고 예리하게 칼을 찌르려 하자 터퀸이 방패로 막았지만 이미 칼끝이 심장까지 들어가 터퀸은 죽음을 맞이했다.
랜슬러트 경은 아서 왕이 죽은 뒤에야 병사들을 이끌고 도버 해협에 상륙했다. 그러나 이미 늦었다는 것을 알고 아서 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도사가 되었다. 그리고 귀네비어 왕비가 죽자 랜슬러트 경도 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아서왕이 죽은 지 한참 후에도 브리튼의 백성들은 그를 기억했다. "아서왕 이곳에 잠들다. 예전에도 왕이었고, 앞으로도 왕이 될 사람이다."
이처럼 아서왕은 죽을 때 엑스캘리버를 호수에 던지라고 말했고, 물속에서 손이 쑥 나오더니 엑스캘리버를 받았다. 이런 아서왕의 죽음을 보며 그의 용감함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랜슬러트 경이 아서왕에 대해 적대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지만, 결국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도사가 되었다는 점에서 가슴이 찡했다.
1.2. 기사도 정신과 중세 문화
기사도 정신과 중세 문화는 아서왕 전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세 시대의 기사는 단순히 말을 탄 병사가 아닌, 정의를 지키고 악을 물리치며 여성과 약자를 보호하는 엄격한 예의범절을 지켜야 했다. 기사는 왕과 주인에 대한 충성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심지어 목숨을 아끼지 않는 자세까지 요구되었다.
아서왕의 전설에서는 이러한 기사도 정신이 곳곳에 담겨 있다. 원탁의 기사들은 용맹함과 무훈을 겸비한 모습으로 그려지며, 성배를 찾는 모험에서 고난과 시련을 겪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또한 귀네비어 왕비에 대한 랜슬롯의 사랑과 같이 기사도의 예의범절을 보여준다.
중세 시대에는 신화적 요소가 강하게 남아있었기 때문에, 아서왕 전설에도 마법과 신비로운 힘이 나타난다. 멀린의 마법과 성배 탐색에 얽힌 이야기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잘 보여준다. 이처럼 아서왕 전설은 중세 기사도 정신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서구 사상의 본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3. 아서왕 전설의 시대적 배경
아서왕 전설의 시대적 배경은 중세 유럽 시기로, 특히 6세기경...
참고 자료
근대 영미소설학회 편『영국 소설사』 2000, 신아사
멜로리 저 『아서대왕』 1994, 용진
윤희억 저『영국문학의 이해』 1999, 지문당
초서 저 『캔터베리 이야기』, 열림당, 1993
토마스 불핀치 저 서미석 역『아서왕과 원탁의 기사들』, 1998, 현대 지성사
허창훈 역 『니벨룽겐의 노래』 범우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