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기술 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재난의 이해와 관리
1.1. 재난의 개념 및 특성
1.2. 재난의 유형
1.3. 재난관리 체계
2. 재난의 취약성
2.1. 취약성의 개념
2.2. 재난 취약성의 결정 요인
2.3. 취약성 평가
2.4. 취약성 감소 방안
3. 복원력(Resilience) 모델
3.1. 복원력의 개념
3.2. 복원력의 구성요소
3.3. 복원력 향상 전략
4. 취약성과 복원력의 관계
4.1. 취약성과 복원력의 차이
4.2. 취약성 감소와 복원력 향상의 연관성
4.3. 재난관리에서 취약성과 복원력의 통합적 접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난의 이해와 관리
1.1. 재난의 개념 및 특성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된다"이다.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지진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이며, 사회재난은 화재, 붕괴, 폭발, 사고 등 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이다. 재난은 불확실성, 복합성, 상호작용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언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 얼마만큼의 피해를 줄지 예측하기 어렵다. 또한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며 연쇄적으로 전개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재난 현장 지휘는 통합, 협력, 조정이 필요하다.
1.2. 재난의 유형
재난의 유형은 크게 자연재난, 사회재난, 해외재난으로 구분된다.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호우(豪雨), 강풍, 풍랑, 해일(海溢), 대설, 한파, 낙뢰, 가뭄, 폭염, 지진, 황사(黃砂), 조류(藻類) 대발생, 조수(潮水), 화산활동, 소행성ㆍ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ㆍ충돌,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사회재난은 "화재ㆍ붕괴ㆍ폭발ㆍ교통사고(항공사고 및 해상사고를 포함한다)ㆍ화생방사고ㆍ환경오염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피해와 "에너지ㆍ통신ㆍ교통ㆍ금융ㆍ의료ㆍ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병의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를 말한다. 해외재난은 국외에서 발생하지만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재난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재난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특성에 따라 대응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재난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다.
1.3. 재난관리 체계
재난관리 체계는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전 과정에서 재난관리 주체들 간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마련하여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앙정부 차원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따라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는 지역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는 등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체계도 마련되어 있는데,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국가가 총력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상호 연계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민간부문과의 협력체계도 중요한데, 재난관리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기업, 자원봉사단체 등과 협력하여 재난 대응 및 복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재난관리가 중앙정부 주도로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재난관리의 책임과 권한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되어 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민간부문과의 협력이 강화되면서 재난관리의 범위와 주체가 확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인 재난관리 체계가 갖춰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재난의 취약성
2.1. 취약성의 개념
재난의 취약성이란 재난발생시 피해를 쉽게 입을 수 있는 대상 자체의 취약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그 대상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재난에 대하여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로서, 취약한 부분이 재난이 도래할 경우 쉽게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이다.
건물구조가 목조로 되어 있거나 가연물을 많이 사용한 건물의 경우 화재에 취약하며, 벽돌이나 블록, 돌로 만든 건물은 지진에 의해 횡력을 받을 경우 쉽게 무너질 수 있다. 또한 슬레이트나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넓은 판으로 만들어진 건물 지붕의 경우 강한 돌풍 등에 의해 쉽게 벗겨지거나 날아갈 수 있다. 주변에 하천이나 강이 있거나 주변보다 지대가 낮다면 집중호우시 수침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외부에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출입관리가 허술하다면 방화나 테러 등이 발생하기 용이할 것이다.
맥언타이어는 취약성에 대하여 변수요소를 재난의 위험 정도, 감수성, 저항, 탄력성 4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의 취약성은 재난의 종류에 따라 발생에 있어서 시사점이 있다. 자연재난과 인위재난의 경우...
참고 자료
가족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정순자, 동주대학, 2005년.
가족스트레스관리에 관한 연구, 김정옥, 효성여대, 1989년.
가족레질리언스가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김안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2009년.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병일·정민숙, 남부대학교, 2013년.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척도개발 연고: 척도 타당화 검증을 증심으로, 옥선화, 서울대학교, 2006년.
박정원. (2020). 학교폭력의 원인 및 예방방안에 대해 교사와 학생 간 인식 개선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순원. (2015).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윤미, (2020). 간호사의 업무 강도, 대인관계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 효과. 임상간호연구
석소현·신동수·권자연·김귀분. (2005).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1 no.2 , pp.101 - 109
임재연. (2017).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에 관한 질적연구. 교원교육, 제33권 제2호, pp. 143-169
최지원·홍상욱. (2022).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 분석. 산업진흥연구 ,vol.7, no.3, pp. 53-63
황지혜·석윤희·박효경·이지연. (2020) 국내 학령기 아동 청소년 대상 집단따돌림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7 no.1 , pp.12 - 27
임현주, [카드뉴스] 초·중·고·학생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 지금 신청하세요, 2023.03.08,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40&lev=0&statusYN=W&s=moe&m=020201&opType=N&boardSeq=94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