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구성
1.1. 실내환경구성
1.1.1. 실내환경구성의 원리
유아교육기관의 실내환경은 흥미영역에 의하여 구성되게 된다. 흥미영역은 어떤 특정한 유형의 학습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구나 자료를 정리하여 모아놓고 교구장, 칸막이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 시각적 경계를 줄 수 있는 영역의 구획으로 일정한 공간적 경계를 갖기는 하지만 한 곳에서 한가지 학습만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교구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새로운 지식의 구성, 기술의 습득, 교육과정의 내용 통합, 기술의 강화와 연마 등을 제공하게 된다. 실내환경의 영역은 역할놀이, 블록놀이, 조작놀이, 창작놀이, 운동놀이, 언어놀이, 수놀이, 과학놀이, 음률놀이, 물이나 모래놀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1.2. 실내환경구성 시 고려할 점
실내환경구성 시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활동영역에 반영되어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도우며 흥미와 요구에 민감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영유아의 연령과 발달상태를 고려하여야 하며, 특수아에 대한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 영아의 경우 가정과 비슷하게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안정감있게 해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계절과 기후를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덥고 습한 여름에는 바람이 잘 통할 수 있도록 비좁은 공간은 밀도를 넓혀 주어야 한다. 겨울이나 비가 많이 올 때에는 실외놀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하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게 되므로 실내에 인공의 빛과 자연의 빛을 적절히 활용하여 적정수준의 채광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활동영역의 구분을 고려하여야 한다. 영유아는 어떤 영역에서 어떻게 놀이를 할지 알아야 하루의 활동을 스스로 계획하여 나갈 수 있으므로 색이나 구획 등을 명확하게 하여 영역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또한 활동영역은 고유의 특수성을 확보하되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인접한 영역 사이에 행동의 상호성과 양립성을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넷째, 이동 통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활동영역에 큰 비중을 두어 통로를 비좁고 복잡하게 구성하게 되면 유아들의 흐름을 방해하게 될 수 있다. 통로도 중요한 공간의 한 요소이기 때문에 적당한 이동 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자료의 배치에 대한 고려이다. 교재교구는 유아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낮은 선반에 배치하고 정리하기가 용이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