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반두라는 관찰학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반두라의 관찰학습 이론
1.1. 반두라의 생애와 업적
1.2.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1.2.1. 보보 인형 실험
1.2.2. 행동주의와 사회인지이론의 차이점
1.2.3.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특징
1.3.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1.3.1. 이론의 특징
1.3.2. 자기효능감
1.3.3. 반두라 이론에 대한 비판
1.4. 관찰학습 사례
1.4.1. 부정적 학습 사례
1.4.2. 긍정적 학습 사례
1.4.3. 현재 상황에서의 적용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반두라의 관찰학습 이론
1.1. 반두라의 생애와 업적
반두라는 1925년 12월 4일, 캐나다 앨버타주 멀다에서 폴란드인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아주 작은 시골 마을에서 자랐고, 20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밴쿠버에 있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 등록했다"" 졸업 후, 그는 아이오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위치타에 있는 캔자스 가이던스 센터에서 1년 동안 인턴으로 일했으며 이후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를 역임했다""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반두라는 임상 심리학에 관심을 가졌고, 그의 초기 연구는 심리 치료 절차와 가족 상황에서의 아동의 공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그는 아동이 사회적 상황에서 모방을 통해 받는 것을 배운다고 주장해 모방학습에 대한 이해에 관심을 높였다"" 1972년에 심리학에 대한 그의 공헌을 인정받아 미국 심리학회로부터 우수 과학자상을 받았으며 1973년 캘리포니아 심리학 협회로부터 공로상을 받았고, 같은 해인 1973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큰 심리학자로 손 꼽히고 있다"" 특히 인간이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어떻게 행동 패턴을 발달시키는지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킨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1.2.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
1.2.1. 보보 인형 실험
반두라의 보보 인형 실험은 관찰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입증한 대표적인 실험이다. 반두라는 1961년 이 실험을 통해 아동들이 다른 사람의 공격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아동들은 어른들이 보보 인형을 향해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관찰했고, 나중에 기회가 주어졌을 때 아동들은 관찰된 공격적인 행동을 모방했다. 이는 사람들, 특히 어린이들이 관찰과 모방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배울 수 있다는 생각에 대한 경험적 뒷받침을 제공했다.
반두라는 이 실험을 통해 관찰학습이 수동적인 과정이 아니라 주의력, 보유, 재생산, 동기부여 등과 같은 활동적인 인지 과정을 포함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사회적 강화와 처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찰학습이 개인의 행동뿐만 아니라 사회 집단 내에서 행동과 규범이 전달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1.2.2. 행동주의와 사회인지이론의 차이점
행동주의와 사회인지이론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에 대한 결정론적이고 기계론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인간은 주어진 자극에 의해 수동적으로 학습하며, 자극이 반복적으로 주어지면서 반응이 축적되면서 학습이 일어난다. 반면에, 사회 인지 이론은 인간을 주어진 것에 반응하기보다는 그들의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배우는 존재로 본...
참고 자료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유진이 저 / 2018년
티스토리 반두라의 사회인지학습이론
https://goodin206.tistory.com/27
Bandura, A., Freeman, W. H., & Lightsey, R. (1999).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Bandura, A. (1976). Social learning analysis of aggression.
김연하, & 김양은. (2008). Bandura 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 (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이임정. (2009). 자기효능감의 이해를 통한 인간의 욕구와 행동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55(1), 221-247.
최영식 <생활지도>, 좋은땅, 2015
김동일, 김봉환 외 3명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2009
조붕환, 임경희 <생활지도와 학교상담>, 아카데미프레스,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