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모 무균술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욕기 감염
1.1. 산후 감염의 개요
1.1.1. 산후 감염의 정의
1.1.2. 산후 감염의 주요 원인
1.2. 산후 감염 유발 요인
1.2.1. 분만 방법에 따른 위험 요인
1.2.2. 기타 위험 요인
1.3. 산후 감염의 주요 질병
1.3.1. 자궁내막염
1.3.2. 혈전성 정맥염
1.3.3. 폐색전
1.3.4. 유방염
1.3.5. 비뇨기계 감염
1.3.6. 상처 감염
1.4. 산후 감염 예방과 간호중재
1.4.1.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1.4.2. 감염 증상 및 징후 관찰
1.4.3. 감염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욕기 감염
1.1. 산후 감염의 개요
1.1.1. 산후 감염의 정의
산후 감염이란 분만 후 생식기 감염을 말한다. 산욕기 감염의 가장 중요한 증상은 출산 후 체온상승이다. 산욕기 감염은 산욕열(puerperal fever), 산욕기 패혈증이라고도 한다. 보통 산욕열은 분만 후 첫 24시간을 제외한 산후 10일 이내에 2일간 계속하여 1일 4회 구강으로 측정하여 38℃ 이상의 체온상승이 있을 때를 말한다.
1.1.2. 산후 감염의 주요 원인
산후 감염의 주요 원인은 대부분 질내에서 발견되는 세균에 의한 내인성 감염과 질외에서 유입되는 병원체에 의한 외인성 감염이다."
대부분의 산후감염은 호흡기 혹은 다른 감염이 있는 의사, 간호사 등의 비말 감염인 장갑 또는 기구오염에 의한 외인성 감염을 나타낸다. 즉, 내진이나 수술적 조작을 통해 원인균이 자궁내막으로 밀려 올라가거나 비말 감염으로 오염된 손이나 기계를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원인균은 혐기성 연쇄상구균이며 그 외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임균 등이 있다."
1.2. 산후 감염 유발 요인
1.2.1. 분만 방법에 따른 위험 요인
분만 방법에 따른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질식분만의 경우 회음부 열상, 태반의 잔류 등이 감염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회음절개 혹은 열상부위는 세균 침입의 문을 열어줄 수 있으며, 태반 조직의 일부 잔류는 괴사와 세균 증식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제왕절개술은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방식으로, 절개 부위가 감염의 장소가 될 수 있다. 특히 진통 중 또는 양막 파수 후 시행된 제왕절개술은 감염의 위험이 더 높다. 진통과 양막파수로 인해 자궁 내 환경이 오염되어 수술 시 세균 침입의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왕절개술을 받은 산모의 자궁내막염 발병률은 질식분만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한다.
따라서 분만 방법에 따라 감염의 위험요인이 달라지며, 특히 제왕절개술은 자궁내막염을 포함한 산후감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2.2. 기타 위험 요인
기타 위험 요인으로는 영양실조, 낮은 사회경제수준, 당뇨 등의 질병을 들 수 있다.
영양실조는 감염에 대한 신체 방어기전을 감소시켜 산후 감염의 위험을 높인다. 저소득층의 경우 영양불량과 위생상태 불량으로 산후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산모는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감염에 취약하다.
따라서 산모의 건강상태와 사회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예방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산후 감염의 주요 질병
1.3.1. 자궁내막염
자궁내막염은 태반이 부착된 부위에 세균이 침입하여 자궁내막, 탈락증, 주위근층의 염증으로 산욕기 감염의 형태 중 가장 흔한 병변이다. 대개 산후...
참고 자료
하영수 외 (2014). 여성 모성간호학Ⅰ. 신광출판사
하영수 외 (2014). 여성 모성간호학Ⅱ. 신광출판사
퍼시픽북(2014). 모성간호학. 퍼시픽 학술편찬국
송경애 외(2014) 최신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성미혜 외,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3
성미혜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3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2013
김정애⦁장은저 저,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수문사, 2009
부산백병원 <젖 짜기와 모유관리> 유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