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전자 변형 실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전자변형생물체(GMO)의 이해
2.1. GMO의 정의 및 개념
2.2. LMO와의 차이
3. GMO의 현황
3.1. 세계 GMO 시장 현황
3.2. 국내 GMO 현황
4. GMO의 찬성 근거
4.1. 안전성 관련 연구 결과
4.2. 유전자편집기술의 발전
5. GMO의 반대 의견
5.1. 인체에 미치는 영향
5.2.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5.3. 종 다양성 소멸 우려
5.4. 대기업의 횡포
6. GMO 관련 사례
6.1. 몬산토의 제초제 라운드업
6.2. 글루텐 질병과 GMO 식품
6.3. 장기실험 연구 결과
7. 토종 씨앗의 중요성
7.1. 먹거리 기본권과 종자 주권
7.2. 토종 씨앗의 가치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식량은 인류 생존의 가장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안정적인 식량의 공급을 위한 작물의 품종개량 등 육종 기술을 포함한 새로운 농업기술의 개발은 생산량에 있어 획기적 전환점이 되는 녹색혁명을 가져왔다. 하지만 인류는 지속적인 인구증가, 지구환경변화, 농업환경 악화 등으로 인한 전통적인 육종 기술의 한계성을 인식하게 되고, 20세기 발달한 생명공학 기술에 기반을 둔 "유전자변형 작물"의 제조가 미래 식량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최초의 유전자변형작물은 아그로박테륨을 이용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담배이며 식품으로 승인되어 처음으로 상용화된 유전자변형작물은 토마토이다. 이를 시작으로 콩, 옥수수, 감자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들이 승인을 받아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고, 재배면적 및 거래 작물의 다양성 증가에 따라 국제사회의 유전자변형작물 안전성의 관심과 우려에 기반하여 2001년 1월 유전자변형생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오안전성의정서를 채택하고 유전자변형생물 관리 기준과 지침이 되는 법과 규율을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2. 유전자변형생물체(GMO)의 이해
2.1. GMO의 정의 및 개념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변형 및 조작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살아있는 모든 생물체를 의미한다. 이는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을 포함하며, 기존에 자연스럽게 존재했던 생물체와는 달리 인간에 의해 유전자가 변형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GMO는 원래 DNA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기 위해 한 생물체에서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를 추출하여 주입하는 기술을 통해 개발된다. 이를 통해 작물의 병충해 저항성, 제초제 내성 등 다양한 유용형질을 부여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인 유전자 조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GMO는 일반 농산물과 구분되며, 그 안전성과 위험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란이 있다"".
2.2. LMO와의 차이
LMO와 GMO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LMO(Living Modified Organism)는 생식, 번식이 가능한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의미하며,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생식, 번식이 가능하지 않은 것도 포함하고 있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다. 즉, LMO는 GMO의 한 subset으로 볼 수 있다.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제 및 관리에 있어서도 LMO와 GMO의 구분이 중요한데, 2000년 1월 유엔환경계획(UNEP)은 생물다양성협약의 부속 의정서인 "바이오안전성 의정서"를 채택하였다. 이 의정서에서는 국가 간 LMO의 이동, 취급 및 이용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LMO에 대한 관리를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반면 GMO는 생식능력이 있는지와 무관하게 넓은 범위의 유전자변형생물체를 포괄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규제와 관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에서 LMO에 대한 관리 체계를 명시하고 있으나, GMO에 대한 별도의 법적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3. GMO의 현황
3.1. 세계 GMO 시장 현황
세계 GMO 시장 현황은 다음과 같다.""
콩의 73%, 옥수수의 30%, 카놀라 경작지의 25%가 GMO 작물로 재배되고 있으며, 캐나다에서는 연간 약 5톤의 GM 연어가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 미국에서는 모든 GMO 식품에 대한 의무 표시 법률이 통과되었다."
세계적인 추세에 따르면 GMO 작물의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891&cid=62861&categoryId=6286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862&cid=63057&categoryId=63057
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19
http://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7
박수철, 김해영, 이철, 2015, ‘GMO 바로알기’,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최낙언, 2016, ‘모든 생명은 GMO다’, 예문당
김동헌, 2008, ‘생명공학과 GMO 안전성’, 지식의 지평
정혜경, 2005, ‘GMO: 논란을 넘은 성장의 역사’, 담론201
KBIC 유전자변형식품 승인 현황 (2017. 4. 27. 기준)
장경호, 「대산농촌문화 식량위기┃식량주권은 생존의 문제이다」, 2016.01.02, 대산농촌문화
MBC 피디수첩 GMO 그리고 거짓말, 2016.06.13.
이태호, 「유전자변형식품, GMO는 위험한가?」, 2017.07.09, 중앙일보 [J플러스]
김은영, 「[GMO 유전자조작식품] 수입 대국, 우리 괜찮은 거야?」, 2017.04.17, 부산일보
양경아, 「마켓에서 흔히 볼수 있는 유전자 변형 식품 10가지」, 2014.11.11., LA중앙일보
배열리미 영국 런던무역관, 「규제 강한 영국, 내년 GMO 작물 시범재배 가능할까?」, 2016.12.20., Kotra
원성윤, 「한국이 유전자변형 작물 시험재배를 27곳에서 하고 있다」, 2016.09.22., 허핑턴포스트코리아
김성훈, 「"GMO의 저주"…美 농무성 과학자의 양심고백」, 2017.10.31., 프레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