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환자확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09.08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환자확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확한 환자 확인을 통한 환자 안전 확보
1.1. 주제 선정 배경
1.2. 용어의 정의
1.3. 현황 파악
1.3.1. 환자확인율
1.3.2. 환자 확인 교육 이수율
1.3.3. 투약 전 환자 확인 이행률
1.3.4. 새로운 프로세스 이행률
1.3.5. 환자 및 보호자의 환자확인 참여율
1.4. 원인분석
1.5. 개선 활동 추진계획
1.5.1. 정확한 환자확인 중요성 교육
1.5.2. 환자확인 중요성 캠페인
1.5.3. 실용적인 환자 확인 프로세스 마련
1.5.4. 프리셉터-프리셉티 교육의 기간 연장
1.6. 개선활동 수행 및 평가
1.7. 부서 업무화 / 지침화
1.8. 제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확한 환자 확인을 통한 환자 안전 확보
1.1. 주제 선정 배경

병원은 환자를 치료하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야 하며 다양한 점검과 확인 절차 중에서 환자확인은 가장 기본적인 업무이며, 환자 안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환자확인 오류는 실제로 진단과 치료과정의 모든 의료행위에 있어 발생된다. 간호사와 환자 간의 투약과 관련된 대화는 인사단계 → 환자확인단계 → 투약단계 → 종료단계 순으로 진행되는데, 간호사가 환자를 잘 알고 있는 경우 환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명시적인 환자확인 행동을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보고되었다. 실습 중인 본원에서 역시 많은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또는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였을 때 '왜 자꾸 이름을 물어보냐고' 하시며 환자확인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환자 등의 인식부족의 요인으로 환자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근 환자 안전법 개정에 따라 중대한 환자안전사고 의무보고 시행이 도입되어 환자확인 및 환자안전문화 조성이 더욱 더 중요시 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환자확인 강화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용어의 정의

환자 확인이란 "모든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환자를 정확히 확인하여 환자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환자안전을 위한 가장 기본이면서도 중요한 절차로, 환자확인 시에는 환자의 이름, 등록번호 등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환자확인 오류란 의료행위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료, 수납, 시술, 수술, 약물투여, 검체 채취 등의 단계에서 환자확인이 부족하거나 미실시로 인해 초래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안전사고는 보건의료인이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환자안전에 위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를 말한다.


1.3. 현황 파악
1.3.1. 환자확인율

환자확인율은 환자 안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절차로, 모든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환자를 정확히 확인하여 환자에게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KOPS(Korea System for Reporting and Learning of Patient Safety)에 따르면, 2016년 7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환자 확인 절차 누락으로 인해 다른 환자 수술, 검사 등 계획된 환자가 아닌 타 환자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 경우의 환자안전사고가 582건으로 보고되었다. 이 중 투약 오류가 가장 많은 279건이었다. 이처럼 환자 확인 절차 누락은 치명적인 환자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병원에서는 환자확인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서에 따르면, 본 병원에서도 환자확인율 향상을 위한 QI 활동을 진행하였다. 사전 평가 결과 간호사의 환자확인 수행률이 70점 수준이었으나, 정기적인 교육과 체크리스트 배부 등의 개선활동을 통해 90점까지 향상되었다. 또한 환자안전 문제 발생 건수도 직전 분기 대비 50% 감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체계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확인율을 높임으로써 환자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환자 확인 시 이름과 등록번호 등 2가지 이상의 정보를 개방형 질문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이름만 묻거나 환자 인식팔찌만 확인하는 등 부분적인 확인 방법으로는 동명이인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준화된 환자 확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이를 의료진이 철저히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2. 환자 확인 교육 이수율

'1.3.2. 환자 확인 교육 이수율'에 대한 내용은 문서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간호사와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환자 확인 교육 이수율은 QI 활동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었다. 문서에 따르면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정확한 환자 확인 교육을 분기별(3, 6, 9, 12월) 1회 실시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신규간호사에게도 정확한 환자확인 절차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교육 대상자에게 사전 설문지를 배포하여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는데, 환자의 경우 '환자확인 시 필수로 확인해야 하는 2가지(이름, 등록번호)를 알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25%만이 "예"라고 답하였고, '병원 내 진행되는 환자 확인에 대한 홍보활동에 대해 접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도 25%만이 "예"라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환자확인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사 대상으로는 '근무 시, 본인의 환자확인 이행 정도는 어느...


참고 자료

김안나, & 박정숙. (2021). 입원환자의 환자안전인식과 환자안전활동 수행 정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5).
안성희. (2006). 환자안전 관리를 위한 위험요인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12(3), 373-384
환자안전과 질 향상 활동 계획, 이행, 평가, 중앙대학교병원 적정진료관리실, 서보영
박복희, 김주현, 최미경, 남선희, 김현숙, 박윤주, 김현숙, 김인수, 최형준 (2021). 일반간호사의 환자확인 미 수행 경험. 대한질적연구학회지, 6(2), 96-109.
구미지 (2021).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임상간호연구, 27(1), 109-119.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ssociation.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ssociation; [Cited 2019. September 10].
Lin L. Comparison of risk management in Taiwan and the US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6;14(3):222–226. [doi: 10.1111/j.1365-2934.2006.00559.x|]
Gwen S, Jane B. In: Oh JA, Shin HW, Kang JA, Jennie CQuality and safety in nursing - A competency approach to improving outcomes -. Seoul: Soomoonsa; 2015.
이명애. (2017). 환자 안전관리: 정확한 환자 확인. 대한소화기내시경간호학회지, 25(2), 35-38.
호기. (2015). 환자안전을 위한 환자확인의 개념과 중요성.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1975(8456), 2093-5951.
표지희, 이원, 최은영, 장승경, 옥민수, 이상일. (2018). 일반인 대상 환자안전 교육을 통한 환자안전 및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 증진: 예비 연구. 대한보건연구, 44(3), 65-8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