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흡곤란증후군 저체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1.1. 폐기능 미숙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
1.2. 모유 감염으로 인한 비효과적 모유수유
1.3. 비효과적인 열 생산 기전으로 인한 저체온의 위험
1.4. 미성숙한 면역기능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1.5. 2세 이하의 연령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2. 간호과정
2.1. 폐기능 미숙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
2.2. 모유 감염으로 인한 비효과적 모유수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진단
1.1. 폐기능 미숙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
미숙아의 폐기능 미숙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이란 폐 성숙도가 낮아 적절한 환기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이 적은 저출생 체중아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미숙아의 폐포-모세혈관 장벽은 미성숙하여 투과성이 증가하고, 제2형 폐포세포 손상으로 계면활성제 생성 및 분비가 부족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폐가 쉽게 찌그러지고, 흉곽 구조와 기능이 미숙해지며, 결국 폐포 내 가스교환 능력이 부족해지게 된다.
이러한 폐기능 미숙으로 인해 대상자에게서는 호흡곤란, 청색증, 빈호흡, 함몰 호흡, 호기 시 신음 등의 증상이 관찰될 수 있다. 처음에는 증상이 없다가 점차 발현되며, 약 50%의 환자에서 유발요인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급격하게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비효과적 호흡양상으로 인해 저산소증, 호흡부전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활력징후, 특히 호흡수와 동맥혈가스분석 수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산소 공급과 기계환기 등의 치료적 중재를 시행하여 폐포 내 가스교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호기말양압(PEEP)을 적용하거나 복와위 체위로 변경하면 폐산소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처럼 미숙아의 폐기능 미숙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로, 정확한 사정과 적절한 간호중재를 통해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모유 감염으로 인한 비효과적 모유수유
산모 CMV(+)와 저체중으로 인해 대상자는 모유를 섭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9/14부터 Novalac AR 분유 feeding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오로모터 자극 프로그램(Oromotor Stimulation PT)을 통해 sucking power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수유 시 desaturation이 70% 초반까지 발생하고 있으며, sucking power가 poor한 상태로 완전한 bottle feeding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미숙아의 연하 및 흡수 기능의 미성숙으로 인한 것으로, 적절한 영양 섭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숙아들은 많은 내과적 및 외과적 문제를 지니게 되고, 특히 대상자는 연하/흡수 관련한 장애가 있으므로 체중 증량을 위한 충분한 영양 섭취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는 영양부족과 성장지연을 초래하고, 불충분한 영양 공급은 단...
참고 자료
홍경자외25명,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6년도,P356~P365
네이버, 건강백과,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06&mobile&cid=51004&categoryId=51004
박성규, CBC 검사에서 혈구수치 이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순천향대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종양내과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3&cad=rja&uact=8&sqi=2&ved=0ahUKEwjg66jxg5zQAhVCHJQKHeqbCVAQFggsMAI&url=http%3A%2F%2Fekjm.org%2Fupload%2F7805531.pdf&usg=AFQjCNExmy4J1hHE9o_n_5CDoqtPySGVng&bvm=bv.138169073,d.dGo
이상민, 유철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대한내과학회지(2005), vol.68(5)
배종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Medical Postgraduates(2002), vol5(30)
손장원, “급성 페손상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내과적 치료”, 대한내과학회지(2010), vol.79(1)
조중범, “소아에서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 AARD(2016), vol.4(4), 2234-234.
정기석, 권오정,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 결핵 및 호흡기질환(2001), vol.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