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의 부상
1.1. ESG의 개념과 중요성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의 개념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뜻한다. 투자 의사결정 시 '사회책임투자'(SRI) 혹은 '지속가능투자'의 관점에서 기업의 재무적 요소들과 함께 ESG 요인을 고려한다. 즉,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 ESG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적 책임 투자 및 경영 전략이다. 전통적인 재무성과 중심의 기업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의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장기적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ESG 요소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로 작용한다. 기업은 ESG 경영을 실천함으로써 장기적 관점에서 성장과 생존을 도모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ESG 성과를 고려하여 투자 의사결정을 내리며, 금융기관들도 ESG 평가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화 등 관련 제도가 강화되는 추세이다.
즉, ESG는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기업은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의 비재무적 가치 창출을 통해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2. ESG 경영의 등장과 확산
ESG 경영의 등장과 확산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기업 경영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하려는 글로벌 추세이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을 판단하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법이다.
ESG 경영의 등장과 확산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다. 첫째, 글로벌 투자자들이 '사회책임투자(SRI)' 또는 '지속가능투자'의 관점에서 ESG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UN은 2006년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을 출범하여 ESG 이슈를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글로벌 투자기관들이 ESG 평가를 활용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둘째, 정부와 정책 당국의 규제와 정책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0년부터 자산 총액 2조 유로 이상의 상장기업에 대해 ESG 정보 공시를 의무화하였고, 2025년부터는 모든 EU 회원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한국 정부 또한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ESG 공시 의무화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였다.
셋째, 기업들의 ESG 경영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ESG를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그룹은 모든 상장사에 ESG 위원회를 설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