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투약교육자료 만들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의 투약오류 개선방안
1.1. 팀빌딩
1.2. 서론
1.3. 본론
1.3.1. 교육을 통한 개선 방안
1.3.2. 체계 개발을 통한 개선방안
1.3.3. 간호관리자의 역할
1.3.3.1. 리더십
1.3.3.2. 조정, 협력적 역할
1.3.4. 윤리적 고려
1.4. 결론 및 제언
1.5. 참고문헌
2. FOCUS-PDCA [검사 후 환자 처치 강화를 통한 약물 투약오류 개선활동]
2.1. 질 향상 활동 배경 및 필요성
2.2. 팀 구성 및 운영
2.3. 현황 및 문제점 파악
2.4. 핵심지표 선정
2.5. 개선사항 선정
2.6. 활동계획
2.7. 활동목표
2.8. 문제분석
2.9. 개선방안
2.10. 개선활동에 대한 결과 및 추가 개선사항
2.11. 결론 및 제언
3. QI 활동 계획서
3.1. 주제선정이유
3.2. 팀구성 및 운영계획
3.3. 문제 분석 및 현황파악
3.4. 핵심지표 선정(목표)
3.5. 자료수집
3.6. 분석 및 해석
3.7. 활동 계획
3.8. 개선 활동
3.9. 결과 측정
3.10. 평가 및 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의 투약오류 개선방안
1.1. 팀빌딩
팀빌딩은 팀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이다. 효과적인 팀빌딩을 위해서는 팀 구성원 간의 상호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 본 팀은 팀빌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
첫째, 팀 구성원들 간의 약속을 정하여 준수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팀 회의나 활동에 지각하지 않고 성실히 참여하며, 서로의 의견에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고, 맡은 역할에 책임감 있게 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팀원 간의 신뢰를 쌓고 팀워크를 강화할 수 있다.
둘째, 팀원 간 협력적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팀원 각자가 긍정적이고 열린 마음으로 임하며, 서로를 비난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상호이해와 존중의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팀원 간 화합과 단결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팀의 역할과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고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였다. 팀장을 중심으로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정하고, 온라인과 대면 회의를 통해 정기적으로 일정을 점검 및 조정하였다. 이를 통해 팀원들의 시간과 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팀빌딩 노력을 통해 본 팀은 팀원 간 상호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또한 체계적인 업무 분담과 일정 관리로 팀워크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이는 투약오류 개선이라는 팀의 목표 달성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1.2. 서론
최근 제주대학교 병원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12개월 영아가 간호사의 투약오류로 숨진 사건이 발생했다. 재택 치료를 받던 중 호흡곤란이 심해져 내원한 아동은 호흡기 치료를 받을 예정이었으나, 담당 간호사가 투여 경로를 오인하여 에피네프린 5mg을 정맥주사로 주입한 것이 원인이었다. 뿐만 아니라, 사건 보고는 영아 사망 후 4일이나 후에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오류란 환자에게 위해 결과가 나타나는 유무와 관계없이 약이 처방되어 환자에게 투여되는 모든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의미한다"이다. 미국 병원 약사협회에서 정의한 투약오류 유형은 총 9가지로 투약 불이행, 처방에 의하지 않은 투약, 부정확한 투약용량, 처방과 다른 경로 투약, 부정확한 정맥 주입 속도, 처방과 다른 형태로 변형된 약물 투여, 불규칙한 투약 시간, 투약 준비 과정 오류, 옳지 않은 투약 기술이 있다. 병원 내 위해사건 분석 연구에서 입원기간 동안 환자에게 발생한 위해사건은 9.2%이며, 그중 투약 관련 오류가 15.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투약오류는 빈번히 일어난다. 사전연구에서 환자에게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투약오류 사건이 신규간호사에게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볼 때, 곧 신규간호사가 될 간호학과 4학년 학생에게 투약오류 문제 인식과 개선 방안에 대해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1.3. 본론
1.3.1. 교육을 통한 개선 방안
투약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통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 중심의 특화된 신입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다. 신규간호사는 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 투약오류율이 30.4%로 매우 높기 때문에, 실제적인 투약과정을 고려한 병동별 다빈도 약품 매뉴얼 내용을 토대로 투약계산 및 실습교육을 실시하여 신입간호사들의 투약술기 향상을 도모한다. 이는 신규간호사들의 이론적 지식과 실무지식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정기적인 약물 안전관리 교육을 실시한다. 약물 및 수액의 선입선출, 약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다루는 법, 약물 투약 전 5right의 중요성, 환자의 네임카드 확인, 개방형으로 환자이름 묻기 등과 같이 약물을 안전하게 환자에게 투약하기 위해 지켜야할 기본적인 내용을 정기적으로 간호사 전체를 대상으로 교육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그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가장 기본을 지키는 것이 투약오류를 막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하여 투약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고위험약물 및 약물 안전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고위험약물 및 약물 관련 교육을 주관한다. 고위험약물이란 오류 발생 시 환자와 직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해 또는 잠재적으로 높은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료역이 좁아 부작용이 발현될 위험성이 높은 약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위험 약물들의 관리 방법, 투약 시 주의사항, 예상되는 부작용, 투약오류 시 대처방안과 같은 내용에 대한 강의를 개최하여 간호사가 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위험약물 투여 시 주의를 기울이고 투약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이와 같이 다양한 교육을 통해 신규간호사와 전체 간호사의 투약술기와 약물에 대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면 간호사의 투약오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고위험약물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은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투약오류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1.3.2. 체계 개발을 통한 개선방안
체계 개발을 통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병동별로 실제적 내용의 '병동별 다빈도 약품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이다. 각 병동마다 자주 사용하는 약물들의 작용과 적응증, 가능한 투여 경로, 적정량, 부작용 등을 정리한 뒤, 이를 부서별 컴퓨터에 저장한 뒤 간호사들이 업무 중 쉽게 열어 볼 수 있게 하여 투약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인별 투약사고 유형분석에 따른 병동별 중재법을 수립하는 것이다. 각 병동별로 투약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취약점을 분석하여, 각 팀에 맞는 해결방안을 탐색한다. 예를 들어, '다른 경로'투여에 대한 문제를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아경구 시럽 투약용기를 개발하여 제품화시키거나 수혈점검용 도장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앗차사고(Near miss)' 자가보고 사례집 개발 및 역할극을 통한 태도변화가 필요하다. 최근 3년간 발생 가능했던 '앗차사고' 사례조사를 통해, 발생 가능했던 투약 관련 '앗차사고 사례집' 핸드북을 발간하여 간호사들이 옆에 두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사례에 대한 교육자료를 개발한다. 또한 '투약오류 상황'에 대한 역할극을 video로 촬영한 후 팀 전체 간호사와 공유함으로써 투약오류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물전담관리과'를 신설하여 체계적·전문적인 약물 관리를 할 수 있다. 내과의, 임상약리학자, 약사,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보다 안전한 약물 사용을 돕기 위해 약물 이상반응 감시활동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주요 업무로는 원내, 원외 약물이상반응 사례에 대한 조사, 관리 및 보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안전카드 발급, 약물이상반응 후속조치 신속대응 상담, 약물이상반응 전문가 상담 및 환자 보호자 대상 상담, 약물 이상반응에 관한 자문 및 교육자료, 프로그램 제공, 오류의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을 줄이는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다.""
1.3.3. 간호관리자의 역할
1.3.3.1. 리더십
리더십이란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리더가 다른 구성원들에게 설정된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영향력을 발휘하는 과정이다. 간호사들은 급격히 변해가는 의료환경 속에서 그들 자신에 대한 정체성이나 대응기술, 그리고 다른 삶들과 조화를 이루어 일할 수 있는 능력 등 여러 측면의 도전을 받게 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리더쉽이 필요하다. 조직에서 리더십은 조직목표달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간호관리자는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을 발휘해 조직을 끌어가야한다.
국내에서는 투약오류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지만 발생건수에 비해 보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발생한 투약오류의 대부분이 보고되지 않은 이유로는 보고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부족, 오류의 정의에 대한 불일치, 사소한 오류 무시, 관리자 반응, 보고 과정의 어려움, 비난에 대한 두려움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투약오류는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결국 투약오류의 재발을 방치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간호관리자는 진성리더십을 발휘해 투약오류 보고 증진을 위한 무비난문화(No-blame culture)를 형성해야 한다. 질책과 훈련의 전통, 수치심을 유발하는 비난의 문화가 투약오류 보고를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기 때문이다. 무비난 문화는 구성원을 벌하기보다 위로와 격려를 하며 실수 원인을 조사해 왜 발생했는지 이유를 찾아낸다. 관리자가 먼저 솔선수범해 본보기를 보여줌으로써 자신뿐만 아니라 구성원,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과한 업무, 방해, 훈련 부족 등 원인을 찾아내어 재발 방지를 위한 준비를 한다.
이상형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 민주형 리더십을 발휘하여 조직 구성원들이 환자안전 및 투약오류에 대한 문제를 개방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고 포용적인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심리적 보상으로 근접오류 보고자에 대한 칭찬과 격려를 한다.
관리자는 타협형 리더십과 지시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구성원들에게 교육 전담의 분야별 교육 시 실제적 투약과정을 고려한 '병동별 다빈도 약품 매뉴얼' 내용을 토대로 한 투약계산...
참고 자료
구미지.(2021).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임상간호연구,27(1),109-119.
김효선.(2016).병원의 환자안전문화 개선 방향” 『보건복지포럼』. 240(0).p. 31-45
민일기,“Mecication Error 예방지침- 미국병원약사회의 Mecication Error 방지를 위한 지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약학대학 임상약학,병원약사회, 2003년
박미마.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행위 구조모형." 국내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충청남도
박문성(2015). 환자안전 측면에서의 고위험약물. FOCUSED ISSUE OF THIS MONTH. 58(2). 105-109
서순림, 김준규, 송영숙.(2021).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보건정보통계학회지,46(1),19-27.
서상순. "간호사의 투약오류 보고 및 장애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4. 서울
오춘애, 윤혜상.(2007).신규 간호사의 투약오류 인지 및 경험에 대한 조사 연구.기본간호학회지,14(1),6-17.
이선희, 문난순 외 13(2004). 간호단위 중심의 투약오류 예방 프로그램 개발
문선영.(2020).간호관리자의 진성리더십과 팀 내 심리적 안전감, 간호사의 투약오류 보고의도.연세대학교.p.1-74
이영숙.(2015).간호사가 인지한 안전 분위기및 수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과투약오류 보고장애와의 관련성.조선대학교.p.1-45
김준규, 송영숙, 서순림.(2021).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보건정보통계학회지. 46(1).p.19-27
김명수.(2015).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과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수간호사의 안전 관련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 완충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7(6).p.673-683
서문경애 외(2020).제2판 간호관리학. 현문사. p.349-363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https://dept.snuh.org/dept/DMC/content.do?menuId=001012
한국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20 환자안전 통계연보
Leape LL. Preventing adverse drug ev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1995;52(4):379-382.
de Veries EN, Ramrattan MA, Smorenburg SM, Gouma DJ,Boermeester MA. The incidence and nature of in-hospital adverse event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 Safe in Health Care. 2008;17(3):216-223.
Armitage, G., Knapman, H. (2003). Adverse events in drug administr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1, 130-140
Kim EK, Lee SY, Eom MR. DISC behavior pattern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3;(2):28-38 (Korean).DOI: 10.11111/jkana.2013.19.1.28
조윤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 및 수행, 2012, p49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QI 뉴스레터, https://www.hira.or.kr/main1.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