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소마미술관 Emotional Drawing 전시회 분석
1.1. 전시회 소개
Emotional Drawing은 총 18명의 국내외 작가들이 '인간 본연의 감성'이라는 주제로 열린 전시회이다. 각 작가들의 느낌에 맞는 공간의 구성들이 돋보였던 전시회였다. 이 전시회가 특별했던 점은 드로잉이라는 것이 평면적인 차원을 벗어나 그것들이 모이고 모여 하나로 연결시켜 멀티미디어적인 드로잉을 보여주는 몇몇 작품에 주목 할만 하다. 전시회장 한켠에 작은 공간을 만들어 그 곳에서 영상과 함께 음향까지 갖춰서 그림이 아닌 에니메이션을 관람 하게 하는 것은 2차원적 그림을 3차원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1.2. 내부 분석
1.2.1. 동선 구성
미술관이라는 특성은 내부에 있는 사람의 동선을 바르게 유도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다른 사람들과 동선을 혼재하지 않게 하는 것을 위한 목적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사람의 이동을 염려하지 않고 작품에만 포커스를 두게 하는 것이 기본적인 미술관 동선의 원리이다. 이러한 동선의 정리는 전시회장 공간에서와 그 공간들을 연결시켜주는 홀 내지는 복도에서도 일어나야 한다. 관람객이 이 전시물을 본 후 어느 쪽으로 나갈 것인지,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 지를 건축가는 계산해야 한다. 이런한 동선 계획은 전시물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되는데 앞에서 언급했듯이 Emotional Drawing전은 작가에 따라 미디어와 그림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시실 방향과는 조금 다르게 전시 되었다.
1.2.2. 공간 구획 방식
건축가 조성용은 소마 미술관을 설계할 때 총 5개의 전시실을 만들었는데 제 1전시실은 1층에, 제 2전시실부터 5전시실까지는 2층에 설계하였다. 하지만 Emotional Drawing 전시회는 이 5개의 전시실 중 2층의 공간만 사용했기 때문에 기존의 전시실 동선과는 조금 다른 특성을 보였다.
특히 Emotional Drawing 전시회는 작가에 따라 미디어와 그림이 혼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특성을 띠었다. 본래의 전시실 형태는 1층의 로비로 들어와서 제 1전시관을 거쳐 계단으로 올라와 2층의 전시관을 관람 후 2층으로 빠져나가는 동선의 형태였다.
하지만 Emotional Drawing 전시회에서는 이러한 동선이 다르게 구성되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실 사이를 단순한 복도의 형식이 아니라 전시실로 연결시켜 관람객의 동선을 자연스럽게 이어주었다. 둘째, 하나의 큰 공간을 벽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가운데 void한 면을 두어 공간을 구획하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했다. 즉, 공간으로 공간을 구획한 것이다.
1.3. 외부 분석
1.3.1. 건축 특성
소마미술관은 올림픽 공원 안에 조성되어있다. 건축가 조성용은 소마 미술관을 설계할 때 자연과 소통하는 미술관이라는 개념에서부터 설계하였다고 한다. 도심 속의 자연 공간인 올림픽고원은 도심의 사람들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사람 도심 그리고 자연이 어울려지는 모습을 표현하려 노력 한 것 같다. 단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평지에 sunken을 만들어 그 공간에서부터 1층이 시작된다. 설계 계획은 sunken부분에서 진입하여 관람을 끝낸 후에는 2층에서 나오는 것으로 되어있도록 한다. 소마 미술관의 외부 모습 특히, 뒷부분 sunken의 모습은 건축가 조성용의 특징을 나타낸다. 누가 봐도 '조성용씨 스럽다.'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1.3.2. 주변 공간과의 연결
소마미술관은 올림픽 공원 안에 조성되어있다. 건축가 조성용은 소마 미술관을 설계할 때 자연과 소통하는 미술관이라는 개념에서부터 설계하였다고 한다. 도심 속의 자연 공간인 올림픽고원은 도심의 사람들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사람 도심 그리고 자연이 어울려지는 모습을 표현하려 노력한 것 같다. 단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평지에 sunken을 만들어 그 공간에서부터 1층이 시작된다. 설계 계획은 sunken부분에서 진입하여 관람을 끝낸 후에는 2층에서 나오는 것으로 되어있도록 한다. 소마 미술관의 외부 모습 특히, 뒷부분 sunken의 모습은 건축가 조성용의 특징을 나타낸다. 누가 봐도 '조성용씨 스럽다.'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우선 공간적인 특징은 길의 연결이다. 건축가 조성용의 작품인 선유도 공원과 Zien Art space는 공간의 연속적이게 연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소마 미술관에서도 들어나는데 지상의 레벨과 1층의 레벨을 맞춰주는 램프가 그것이다. 여러 방향의 램프는 1층과 2층을 연결해주고 2층 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