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담관염
1.1. 정의
담관염은 담도계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담관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담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 담관염이다. 담관의 염증은 주로 담석, 악성 종양, 축농증 등에 의해 발생하여 담즙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정체되면서 세균감염이 되어 발병하게 된다. 따라서 담관염은 담즙의 흐름이 막히는 폐쇄와 세균 감염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1.2. 병인론
급성 담관염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담즙의 흐름이 막히는 폐쇄(담관폐쇄)가 선행되어야 한다. 담관이 막히게 되면 담즙의 배출이 되지 않아 담즙이 정체된다. 주된 원인은 담관 담석이 85%로 가장 많고 그 밖에 담관암, 담관 협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담관 담석 환자에게는 이미 담관 내에 세균이 있는 경우가 많아 담관염이 발생하기 쉽다.
둘째, 담관폐쇄로 인해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담즙에 세균이 감염되어 급성 담관염이 발생하게 된다. 고인 물이 썩듯이 정체된 담즙에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면 담도에 염증이 발생한다. 따라서 담관의 폐쇄와 세균 감염이 동시에 발생하면 급성 담관염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1.3. 증상
담관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사르코 트리아드(Charcot's triad)라고 불리는 복통, 발열, 황달이다. 복통은 경우에 따라서 경미하고 일시적일 수 있지만, 오한과 한기가 동반된다. 대부분의 환자에게 발열이 있고, 우상복부를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저혈압과 의식 저하가 동반된 패혈증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담관염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패혈증이 발생하면, 매우 위험하고 사망률이 높다. 그 외에도 황달이 동반되는데, 눈과 피부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이 일반적인 담관염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1.4. 합병증
담관염의 합병증은 심각한 수준까지 이를 수 있다. 먼저 치료하지 않으면 패혈증과 이로 인한 사망이 발생할 수 있다. 패혈증은 담관염의 가장 위험한 합병증으로, 감염이 전신으로 퍼지면서 혈압 저하,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패혈증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담관염이 지속되면 간농양 등의 후기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간농양은 간 조직 내부에 농양이 생기는 것으로, 심각한 합병증이다. 간농양이 발생하면 발열, 오한,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방사선 검사나 생검을 통해 확진할 수 있다. 간농양이 있는 경우에는 경피적 배농술이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담관염의 합병증으로 황달, 지방 흡수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담관이 막히면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황달이 나타나며, 지방 흡수 장애로 인해 영양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담관염은 적절한 시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1.5. 진단검사
1.5.1. 영상검사
담관염 환자의 진단을 위해 다양한 영상검사가 이용될 수 있다. 복부 초음파 검사는 담석이나 담관의 폐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검사이다. 초음파는 간편하고 환자에게 해가 없어 담관염 진단을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복부 CT 검사는 간, 담도, 췌장 등의 구조를 보여주어 담관의 확장이나 담관 내 종양 등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공명영상(MRI)은 방사선 노출이 없고 조영제 투여 없이도 담관과 췌관의 상태를 잘 보여줄 수 있어 유용하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RCP)은 내시경을 이용해 담관 내로 직접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관의 구조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는 검사이다. 경피적 간경유 담관 조영술(PTC)은 피부를 통해 간내 담관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촬영하는 방법으로, 폐쇄성 황달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영상검사를 통해 담관염의 원인과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1.5.2. 혈액검사
담관염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 소견은 다음과 같다.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의 수치가 상승한다. 직접 빌리루빈은 담관 내 담즙 정체로 인한 상승이며, 간접 빌리루빈은 적혈구 용혈로 인한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요중 빌리루빈 수치도 상승한다.
백혈구 수치가 상승하는데, 이는 세균성 감염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