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비영리조직의 이해
1.1. 비영리조직의 정의와 특성
비영리조직의 정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비영리조직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조직으로, 이윤 극대화가 아닌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단체 또는 조직을 의미하며, 정부조직과 영리단체를 제외한 모든 기구나 단체, 집단 및 조직을 포함한다. 주된 특징은 공공의 선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 추구를 목적으로 하고, 자발적인 설립과 운영을 한다는 것이다.
비영리조직은 크게 4가지의 특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첫째, 자발적 부문(Voluntary sectors)으로, 이는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부문을 의미한다. 임원급 인사들은 일반적으로 보수를 받지 않는다. 둘째, 독립 부문(Independent sectors)으로, 정부나 영리 부문과는 구분되는 독립적인 부문을 일컫는다. 셋째, 시민사회 부문(Civic society sectors)으로, 지역사회 개선에 관심을 가진 시민 그룹의 활동을 포함한다. 넷째,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로,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다양한 유형의 조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자발적, 독립적, 시민사회적, 비정부적 특성을 지니는 비영리조직은 사회 각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 부문의 한계를 보완하며,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등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1.2. 비영리조직의 유형
비영리조직의 유형에는 자발적 부문(Voluntary sectors), 독립 섹터(Independent sectors), 시민사회 부문(Civic society sectors),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등이 있다.
자발적 부문은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섹터로, 이들은 일반적으로 보수를 받지 않는다. YWCA, American~, World Vision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자원봉사자들은 정부의 개입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활동한다.
독립 섹터(또는 제3섹터)는 정부나 영리 섹터가 아닌 독립적인 섹터를 말한다. 이들은 1980년대에 발견되었으며, 금융과 운영을 모두 독립적으로 담당한다. 이들은 비영리조직과 박애주의 섹터에 영향을 미치는 연방 정책 문제를 옹호한다.
시민사회 부문은 지역사회를 개선하는 데 관심을 가진 시민 그룹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공통된 관심사를 공유하며,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자발적으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허리케인이 발생했을 때 자발적으로 모여 피해 지역을 돕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비정부기구(NGO)는 정부 조직이 아닌 모든 단체와 조직을 포괄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이다. NGO에는 비영리조직, 국제기구 등 다양한 유형이 포함된다. NGO는 지역, 국가, 국제 수준에서 공공재 이슈를 다루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NGO는 다른 섹터에 비해 매우 포괄적이고 다양한 수준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자발적 부문, 독립 섹터, 시민사회 부문, NGO 등 다양한 유형의 비영리조직이 존재하며, 각각 강조하는 특성이 다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용어 대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영리조직(Nonprofit Organization, NPO)'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1.3. 비영리조직의 역할과 기능
비영리조직의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영리조직은 다양한 측면에서 국민들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교육, 건강, 여가, 안전, 미디어, 소비자 행동 등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비영리조직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그들은 IRS 501 c(3)의 공익단체로 분류되는데, 이는 이들이 국민들로부터 광범위한 지지와 기부를 받기 때문이다. 즉, 비영리조직의 활동과 서비스는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비영리조직은 지역사회의 경제적 복지 증진에도 기여한다. 이들은 고용을 창출하고 다양한 경제활동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사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균형 잡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셋째, 비영리조직은 개인과 기관의 자발적인 기부를 통해 재원을 확보한다. 이렇게 마련된 자금은 다시 조직의 미션과 가치를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즉, 비영리조직은 개인과 기관의 자선적 지원을 토대로 운영되며, 이는 곧 시민사회의 참여와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넷째, 비영리조직은 시민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시민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이들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연대를 통해 조직을 운영하며,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취약계층과 소외계층의 권리를 보호하고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다섯째, 비영리조직은 정부의 역할을 보완하고 대체하는 기능을 한다. 정부가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공공서비스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비영리조직이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신속하게 변화하는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하는데 있어 비영리조직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비영리조직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며, 정부와 시장을 보완하는 중요한 부문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공익 증진과 사회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2. 비정부기구(NGO)의 개념과 특성
2.1. NGO의 정의와 발전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는 정부 외의 기구나 단체, 집단 또는 조직체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NGO는 정부조직이나 영리단체가 아닌 공공의 선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 추구를 목적이나 임무로 하고,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