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동시장 성불평등 및 여성 노동권 보장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동시장에서의 성불평등 분석
2.1. 인적자본이론으로 본 성불평등
2.2. 이중노동시장이론으로 본 성불평등
2.3. 성별분업이론으로 본 성불평등
3. 여성의 노동권 보장 방안
3.1. 법적 제도적 방안
3.2. 정책적 방안
3.3. 기업적 방안
3.4. 사회적 방안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노동시장에서의 성불평등은 여성과 남성의 임금, 고용 기회, 직업 안정성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의미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으며,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동시장에서의 성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인적자본이론, 이중노동시장이론, 성별분업이론은 각각 노동시장에서 성불평등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적 틀이다. 이러한 이론들은 성불평등의 근원을 파악하고, 여성의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법적, 제도적, 정책적, 기업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방안들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성평등한 사회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2. 노동시장에서의 성불평등 분석
2.1. 인적자본이론으로 본 성불평등
개인의 교육, 경험, 기술 등과 같은 특성이 노동시장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인적자본이론의 핵심이다. 이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사이의 교육 및 경험 차이가 노동시장에서의 성불평등을 야기한다. 실제로 여성은 남성보다 교육 기회가 적거나 경력 단절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아, 이는 여성의 낮은 임금과 직업 안정성으로 이어진다. OECD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평균 교육 수준은 남성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경우가 많지만,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2019년 기준 OECD 국가에서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남성보다 약 11% 높았으나,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남성보다 약 13% 낮았다. 이는 여성의 경력 단절이 인적자본의 누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2020년 기준 결혼,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비율이 전체 여성 노동자의 약 30%에 달한다. 이러한 경력 단절은 여성의 인적자본 축적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노동시장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술 격차도 성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데, 전 세계적으로 STEM 분야 졸업생 중 여성의 비율은 약 35%에 불과하다. 이러한 기술 격차는 여성의 고임금 직종 진입을 어렵게 하고, 결과적으로 임금 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2.2. 이중노동시장이론으로 본 성불평등
이중노동시장이론은 노동시장을 주요 시장과 주변 시장으로 구분...
참고 자료
최선화, 「여성복지론」, 공동체, 2018
송다영, 「여성복지론」, 양서원, 2015
공미혜 외, 「여성복지론」, 신정, 2020
고우영, 「성역할 인식과 성별분업 및 여성의 경제활동 사이의 관계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9
허은, 「개인화와 성별분업: 패널 자료를 이용한 가족형성기 여성의 성역할 태도 분석」, 한국사회학회, 2017
송다영 외, 「새로쓰는 여성복지론 쟁점과 실천」, 양서원, 2019
정은 외, 「여성복지론」, 창지사, 2018
새로쓰는 여성복지론 쟁점과 실천, 송다영, 김미주, 최희경, 장수정 공저 | 양서원(박철용) | 2019
성역할 인식과 성별분업 및 여성의 경제활동,사이의 관계분석, 고영우, 윤미례, 이동선 저 | 한국노동연구원 | 2019
여성노동시장이론, 이효재 역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