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MRS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MRSA 개요
1.1. 각종 구균의 정의, 감염경로, 예방 방법
1.2. MRSA의 감염 빈도, 증상, 치료 방법
2. MRSA 감염 관리
2.1. MRSA의 병 경과, 합병증
2.2. MRSA 확진 후 관리
3. VRE 감염 관리
3.1. VRE의 특성 및 감염 양상
3.2. VRE 감염 증상 및 진단
3.3. VRE 감염 치료
4. MRSA와 VRE 감염관리 방법 비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MRSA 개요
1.1. 각종 구균의 정의, 감염경로, 예방 방법
포도상 구균은 체내 다양한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박테리아로, 30가지 이상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질병을 유발한다. 해당 질병은 치료가 필요 없는 가벼운 증상부터 인체에 치명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인체에 감염되는 가장 흔한 포도상구균 박테리아는 황색포도상구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코와 피부에서 발견되며 전 세계 성인의 25%~30% 정도가 감염된다. 포도상구균이 피부 밖에 있을 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처를 통해 포도상구균이 우리 몸에 침입하면 감염이 일어난다.
항생 물질에 내성이 생긴 황색 포도상 구균은 약 50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페니실린 등의 항생 물질에 내성이 생긴 것이다. 전염은 피부 대 피부 접촉 또는 수건이나 사용한 붕대 등 함께 사용하는 표면이나 물품을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감염은 베인 상처나 찰과상 부위를 소독하지 않거나 표면을 적절하게 닦지 않은 경우에 박테리아를 접촉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이 있다고 해도, 오염된 물체의 역할이 지나치게 강조되었다. 감염을 전염시키는 가장 흔한 경로는 더러운 손이다.
포도상구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해 박테리아가 몸을 침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포도상구균은 전염성이 있으므로 포도상구균에 오염된 물건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 포도상구균에 감염된 사람과의 피부 접촉도 피해야 한다.
1.2. MRSA의 감염 빈도, 증상, 치료 방법
면역력이 현저히 낮아진 경우에는 다른 사람과 접촉하거나, 수건이나 면도기와 같은 개인적 물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MRSA에 전염될 수 있다. MRSA는 일반인보다 입원 환자, 의료종사자의 비강 내에서 검출되는 경우가 많고, 외상, 수술, 화상, 면역 저하 등으로 신체 방어 기전에 손...
참고 자료
MRSA,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92 (2021.01.24.)
VRE,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900&diseaseKindId=C000001 (2021.01.20.)
간호미생물학, 고문사, 조정제 (2018)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 질병관리본부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윤은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