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욕창 사정 및 관리
1.1. 욕창의 특성 및 단계
욕창이란 정상 혈액순환보다 높은 압력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흐름이 폐쇄되어 국소적 허혈로 인해 기저 조직에 손상이 생긴 피부 통합성 장애이다. 욕창은 침범된 조직의 층(표피, 진피, 피하지방, 근육/뼈)에 따라 4단계로 분류되는데, 1단계는 온전한 피부의 비창백성 홍반, 2단계는 진피층이 드러나는 부분층 피부 손상, 3단계는 전층 피부 손상, 4단계는 전층 피부 및 조직 손상이다. 또한 깊이를 알 수 없는 전층 피부 및 조직 손상은 미분류 욕창으로, 지속되는 비창백성의 자주색, 밤색 혹은 적갈색 변화는 심부조직 손상 의심 욕창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욕창은 그 단계에 따라 손상 정도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정확히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욕창 발생 위험 평가
대상자의 연령, 질병 유무, 영양 상태, 피부 상태, 움직임 제한, 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이 욕창 발생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입원 시부터 체계적인 사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욕창 발생 위험을 조기에 파악하고 예방적 간호중재를 시행할 수 있다.
먼저 대상자의 연령을 고려해야 하는데, 신생아, 소아, 노인의 경우 욕창 발생 위험이 높다. 이는 피부 구조와 기능의 차이, 활동성 및 이동성 저하 등으로 인한 것이다.
질병 유무 또한 중요한데, 당뇨, 악성종양, 말기 질환 등 만성적이고 악화되는 질병을 앓고 있을수록 욕창 위험이 증가한다. 이는 질병으로 인한 신체 기능 저하와 면역력 저하로 인한 것이다.
영양 상태 또한 욕창 발생의 핵심 요인이다. 체중 감소, 단백질 및 수분 섭취 부족, 영양 결핍 등은 피부의 건강과 회복력을 떨어뜨려 욕창 위험을 높인다.
피부 상태도 고려해야 하는데, 피부 습기, 마찰, 전단력으로 인한 손상은 욕창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한 감각 저하, 혈관 관류 장애 등으로 인한 피부 손상도 위험 요인이다.
대상자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거나 활동성이 낮은 경우에도 욕창 위험이 높아진다. 이는 해당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피부와 조직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대소변 실금, 흡연, 약물 남용 등의 개인 습관과 생활 양식도 욕창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종합적으로 볼 때, 욕창 발생 위험 사정은 입원 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대상자 개별 특성에 맞는 예방적 간호중재가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욕창 발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1.3. 욕창의 종합적 사정
욕창 사정은 정확한 피부 상태 확인과 욕창 특성 파악을 위해 실시된다. 욕창 발생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욕창의 단계와 크기, 위치, 삼출물 양상, 피부색 변화, 괴사조직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한다. 이를 통해 욕창의 치유 진행 정도와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욕창 사정 시 포함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욕창의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한다. 둘째, 상처의 크기(길이, 너비, 깊이)를 측정한다. 셋째, 잠식과 동로(터널) 유무를 확인한다. 넷째, 욕창 분류 체계(NPUAP & EPUAP)에 따른 욕창 단계를 사정한다. 다섯째, 상처 기저부의 색깔, 조직 상태(괴사조직 유무 등)를 확인한다. 여섯째, 삼출물의 양상(양, 색깔, 냄새 등)을 사정한다. 일곱째, 상처 가장자리와 주위 피부 상태를 확인한다. 여덟째, 욕창의 보유 기간을 파악한다. 아홉째, 통증 유무와 특성을 사정한다. 열째, 감염 여부와 증상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주위 피부의 온도와 경도 변화를 사정한다.
이러한 종합적인 욕창 사정을 통해 욕창의 현재 상태와 치유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드레싱과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1,3]
2. 욕창 드레싱 및 치료
2.1. 상처 세척 및 관리
상처 세척은 상처 조직 및 상처 주위 피부의 손상과 감염을 예방하고 청결 유지를 통해 상처 회복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상처 세척을 위해 생리식염수, 드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