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case 대상자 사례화
이00, 25세 여환은 2015년에 처음 정신과 진료를 받기 시작했다. 지적장애 3급 진단을 받았으며, 분노조절이 힘들어 친구들과 싸우거나 주먹으로 벽을 치고, 자해를 하고 욕설을 하는 등의 문제행동으로 인해 입원한 경험이 있다. 짧게는 3,4개월, 길게는 6,7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입원했지만, 퇴원 후에 다시 증상이 악화되는 패턴을 보였다. 2021년 6월에 퇴원한 이후 2022년 10월부터 외래 진료를 나가지 않았는데, 귀찮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다가 2022년 11월 17일경부터 아는 언니를 만나고 계속 욕을 하고 벽을 주먹으로 치는 행동을 보여 입원치료를 위해 2022년 11월 21일에 다시 내원했다.
1.2.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 정보
대상자는 25세 여환으로 상세불명의 양극성 정동장애와 주의나 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행동의 장애가 있는 경도 정신지체 진단을 받았다. 주요 증상으로는 환청, 공격성 행동, 감정기복이 있다. 특히 불만 발생 시 충동조절 능력이 부족하여 부적절한 분노 표현과 주변 사람들과의 잦은 언쟁으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낮은 자존감으로 인하여 타인의 행동을 과대해석하여 기분의 변화가 나타나며, 위생 관리나 주변 정리를 소홀히 하는 등 자가간호에도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대상자의 성장발달력을 살펴보면, 아동기에는 아버지의 알코올중독과 폭력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컸으며, 학령기에는 부모의 이혼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청소년기에는 지적장애 진단을 받고 따돌림을 경험하면서 우울감과 자해행동이 나타났다. 성인기에는 가정폭력, 활동보조인의 학대, 쉼터에서의 학대 등 반복적인 외상 경험으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보였다.
현재 대상자는 발프로산나트륨, 브로마제팜, 수산화마그네슘, 할로페리돌 등의 약물 치료를 받고 있으나 약물 순응도가 낮은 편이다. 이로 인해 어눌한 발음, 입마름, 졸음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분조절, 자해, 수면장애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2. 본론
2.1. 간호정보 조사지
대상자는 25세 여성 환자로 상세불명의 양극성 정동장애, 주의나 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행동의 장애가 있는 경도 정신지체, 상세불명의 조현병으로 진단받았다. 주요 증상으로는 환청,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