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놀이는 유아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활동으로, 유아의 내적 동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자발적이고 즐거운 활동이다. 유아의 놀이는 과거 중심적 특성을 갖고, 유아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정서, 창의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놀이는 유아가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몰입 행동으로 유아의 배움을 위한 최적의 학습방법이기도 하다. 유아는 놀이를 통한 신체활동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으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언어능력을 기를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사회성이 증가하고 또래와의 놀이 중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놀이는 영유아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을 돕고 자신과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유아의 놀이는 그 자체가 중요하며 유아는 스스로 놀이 활동을 받아들이고 경험을 통해서 연습한다. 또한 놀이상황 시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등 놀이를 재경험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는 견고히 지식을 확립해 나간다. 이처럼 유아의 놀이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현대 유아교육에서 놀이를 가치 있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놀이가 어린이의 생활이며 학습의 기본형식이기 때문이다.
2. 개정표준보육과정과 개정누리과정의 특징
2.1. 개정표준보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개정표준보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은 자율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람, 민주적인 사람, 우리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이다. 표준보육과정의 인간상은 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서 '창의적, 민주, 우리문화'와 같은 공통 키워드를 사용하여 유사한 성격의 인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자율적인 사람'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람'의 차이점도 드러난다. 이처럼 표준보육과정의 인간상은 유사한 의미와 내용을 담고 있지만 표현에는 차이가 있다.
2.2. 개정누리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을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연계되어 있으며, 유아기의 특징을 반영하여 감성이 풍부한 사람과 건강한 사람의 인간상을 추가하였다.
개정 누리과정의 목적은 이러한 추구하는 인간상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바른 인성을 갖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달리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추구하는 인간상과 연계하여 목표를 진술하였다. 이를 통해 누리과정의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인간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건강한 사람은 개정 누리과정의 핵심 인간상으로, 유아가 놀이를 통해 이러한 특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개정 누리과정의 중요한 목표라 할 수 있다. []
3. 개정표준보육과정과 개정누리과정의 목표
3.1. 개정표준보육과정의 목표
개정표준보육과정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유아의 놀이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루 일과를 편성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유아가 흥미와 관심에 따라 놀이를 자유롭게 참여하고 즐길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