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산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비교 서술하시오 그리고이와같이본인이사회복지운동을 한다면 어떻게할것인지또한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의 기원
1.2.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역사적 고찰
1.3. 사회복지조사의 중요성
2. 자선조직협회(COC)
2.1. 자선조직협회의 특징 및 기원
2.2. 자선조직협회의 목적
2.3. 자선조직협회의 실천방법
3. 인보관 운동
3.1. 인보관 운동의 기원
3.2. 인보관 운동의 특징
3.3. 인보관 운동의 목적
4. 빈민에 대한 관점 변화
4.1. 개인적 책임에서 사회구조적 문제로
4.2. 자선조직협회의 빈민관
4.3. 인보관 운동의 빈민관
5. 사회복지실천 방법에 대한 제언
5.1. 사회복지조직의 확대
5.2. 사회복지 전문인력 확충
5.3. 통합적 실천방법의 필요성
6. 결론
6.1.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의 의의
6.2. 현대 사회복지실천에의 시사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의 기원
18세기 중후반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도시화와 공업화가 함께 진행되면서 도시 안에 빈민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문제와 빈곤 문제가 대두되었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자선단체가 만들어졌지만 실질적인 은행가와 같이 중산계급의 기독교인들이 주축이 되어 빈곤문제가 크게 해결되지 않았다. 이런 과정에서 자선활동의 조직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가 되었고 그 결과 1869년 영국에서 '자선구제의 조직화와 구걸방지를 위한 협회(The Society for Charitable Relief and Repressing Mendicity)'라는 명칭의 자선조직협회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는 추후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COS)'로 개칭되었다.
한편, 19세기 후반에는 산업화와 도시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서 자선조직협회보다 15년 뒤인 1884년에 인보관 운동이 시작되었다. 최초의 인보관은 영국의 바네트 신부가 설립한 토인비 홀(Toynbee hall)이었다. 바네트 신부는 빈민지역에 거주하며 빈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노동자들의 열악한 처우와 빈민들의 생활개선을 위해 노력하였고, 옥스퍼드 대학과 캠브리지 대학의 학생들이 사회개혁운동에 동참하게 되면서 인보관 운동이 전개되었다.
1.2.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역사적 고찰
사회복지실천은 19세기 영국에서 태동하였다. 당시 산업혁명으로 인한 도시화와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도시 빈민이 대량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새로운 사회문제와 빈곤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선단체가 만들어졌지만, 실질적인 해결책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자선활동의 조직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그 결과 자선조직협회가 생겨나게 되었다.
자선조직협회에서는 중산 계층의 자원봉사자들이 가난한 가정을 직접 방문하고, 빈민의 상태를 파악하여 구제를 위한 원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복지를 제공하였다. 이는 이후 개별사회 산업의 기초가 되었으며, 지부를 세우고 구빈위원회를 두는 등 빈곤자를 조직적으로 돌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빈민에게는 근면, 절제, 절약을 가르치고, 부자에게는 빈민에 대한 선의의 모범을 보일 것을 주장하였다.
자선조직협회의 목적은 시대적 상황에서 사회적 빈곤에 처한 사람들을 돕고,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또한 자선활동을 조정하고 보다 많은 이들을 구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제 신청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면밀한 조사를 통해 중복 서비스 지원을 방지하였으며, 우애방문원을 통한 가정방문과 면담, 기록, 사례연구 등 사회복지조사와 지역사회실천 활동의 근간이 되는 기관을 만들었다.
한편, 인보관 운동은 산업혁명 이후 대량 빈곤과 생활격차 현상이 심화되면서, 자선조직협회의 한계가 드러나고 빈곤이 개인의 책임이 아닌 사회 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이 대두되면서 생겨났다. 인보관 운동은 기독교의 사회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사회개혁적인 접근을 하였으며, 빈곤을 단순히 교화시키는 것이 아닌 사회 구조 자체를 개편하고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보관 운동에서는 배운 대학생이나 지식인층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였으며, 지역사회 내에 빈민과 함께 거주하면서 그들의 실질적인 어려움을 돕기 위해 노력하였다. 주택 개선과 공중보건 향상, 고용주의 빈민 착취 방지, 교육 등 사회문제 해결에 힘썼다. 또한 빈민을 도덕적으로 교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사회복지실천은 자선조직협회의 개인 차원의 접근에서 시작하여, 인보관 운동을 거치면서 사회 구조적 문제에 주목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이는 현대 사회복지실천의 토대가 되었으며, 사회복지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보여준다.
1.3. 사회복지조사의 중요성
사회복지는 개인이 해결하기 힘든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여 그들이 보다 인간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조사 과정은 매우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것에 해당한다. 정확한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해결 방안 또한 설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다양한 사람들로 얽혀있고 그들은 상호 작용을 통해 움직이고 있으므로 정부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한 분야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부는 해당 문제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기초 조사를 시행하게 되는데, 전문가의 실태 조사나 해외의 사례, 현장에 대한 의견 수집, 그리고 해당 정책에 대한 방향 조언 등은 좀 더 실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게 도와주며 그 정책의 정당성 또한 확보하게 해준다. 실제로 현장에서 문제 해결이 시급한 클라이언트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전문가들은 그들이 어떠한 욕구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욕구가 어떻게 해결되기를 바라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정책이 시행되었을 때 그 결과로 클라이언트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그 효과성은 어느 정도인지도 사회복지 조사를 통하여 알 수 있게 된다. 과거에도 민간 차원에서의 사회복지가 처음 태동하던 19세기에 다양한 사회복지 조사가 선행되었던 점에서 그 의미를 알 수 있듯이, 사회조사는 사...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론. 양옥경. 나남. 2018
사회복지실천론. 김혜영. 공동체. 2014
《사회복지개론》교안,위더스 평생교육원(2020년),p35~p36
《사회복지정책론》교안,위더스 평생교육원(2020년),p45~p48
《사회복지실천론》교안,위더스 평생교육원(2020년),p27~p28
박선영,“복지공간으로서 인보관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뜻과 정체성의 사유:토인비 홀과 헐 하우스의 비교”사회복지연구,한국사회복지연구회(201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1dd98502d6201ddd7f7a54760bb41745
네이버 지식백과-사회복지학사전“자선조직협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72159&cid=42120&categoryId=42120
네이버 지식백과-사회복지학사전“자선조직화운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72160&cid=42120&categoryId=42120
위키백과,“인보관운동”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B%B3%B4%EA%B4%80%EC%9A%B4%EB%8F%99
네이버“인보관운동”검색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890306&logNo=221606018803&proxyReferer=https:%2F%2Fcafe.naver.com%2Fca-fe%2Fcafes%2F15627366%2Farticles%2F558260%3FoldPath%3D%252FArticleRead.nhn%253Farticleid%253D558260%2526clubid%253D15627366
사회복지 조사론 강의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여성가족부, 「청소년 종합실태조사 : 코로나 19 이후 가장 걱정되는 것」, e-나라 지표, 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4&tblId=DT_154013_B023&vw_cd=MT_ZTITLE&list_id=B_21_001_002&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김종윤, 「코로나 시대, 지역교육이 무너진다<하> 말 배우기 늦어지는 유아, 전문가 진단」, 대구일보, 2021.09.06.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109060031
최승훈, 「치매 앓는 엄마 곁으로…추석 덕분에 요양병원 상봉」, JTBC 뉴스, 2021.09.20.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24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