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학교와 연수원의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 지원 사업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교권 하락의 실태와 교육현장의 문제점
1.2. 교권 보호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2. 대학교와 연수원의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 방향
2.1. 대학교 교원연수 프로그램 운영 현황
2.2. 연수원 교원연수 프로그램 운영 현황
2.3.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
3.1.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개선
3.2. 우수 강사진 확보 및 체계적인 관리 방안
3.3.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
3.4.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 관리 및 환류 체계 구축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정책적 제언
4.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교권 하락의 실태와 교육현장의 문제점
급변하는 사회와 함께 교육의 현장 또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수업이 이루어지는 곳이 학교뿐만이 아니라 집과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육의 방식 또한 점차 변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교사와 학생이 소통하는 공간이 교실이 아닌 온라인이라는 가상공간으로 옮겨지면서 교권침해로 피해를 호소하는 교사들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전국 유, 초, 중, 고, 대학 교원 84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직, 교권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응답 교원의 79%정도가 최근 1-2년간 교원들의 사기가 떨어졌다고 답했으며, 교직생활 중 큰 어려움으로 55%정도가 교권이 잘 보호되고 있지 않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사기 저하와 교권 하락은 학생 생활지도를 기피하고 관심 저하로 이어지는 것이 실상이다. 교권 하락은 교권이 침해되면서 시작되는데 이는 보통 매일 이루어지는 교실 수업 시간 또는 등교에서부터 시작된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지면서 교권은 더욱 침해받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줌으로 수업을 켜두고 수업 중 다른 공부를 하거나 음식물을 섭취하기도 하고, 교사에게 부적절한 발언을 하거나 학부모가 수업에 개입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교권 침해는 온라인상에서 뿐만이 아니라 실제 교실에서도 수업을 방해하거나 교사에게 부적절한 행동과 언어를 통해 교권 침해는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권 하락으로 인한 피해는 다시 학생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교권 하락을 예방하기 위한 지원들이 절실한 상황이다.
1.2. 교권 보호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교육현장에서 교권 하락의 실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교권 하락으로 인해 교사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있으며, 학생 생활 지도에도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교권 하락은 단순히 교사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와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교권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교권 보호를 위해서는 교권 침해의 원인을 파악하고,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교원 복지 향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와 연수원의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 현황을 진단하고,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각도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교권 보호와 교육 현장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2. 대학교와 연수원의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 방향
2.1. 대학교 교원연수 프로그램 운영 현황
대학교는 현직 교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교원들의 전문성 향상과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마련된 것이다.
대학교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은 계절학기 및 방학 중에 주로 운영되며, 단기 집중 연수부터 장기 연수까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주요 연수 내용은 교과 교육, 교수-학습 방법, 학생 생활 지도, 교육 행정 등 교원에게 필요한 실천적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교육 현장의 변화를 반영하여 교원의 정신건강 관리, 학생 인권 교육, 다문화 교육 등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들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연수, 교원 개인의 요구와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연수 등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처럼 대학교는 교원들의 전문성 개발과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교원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연수 내용과 방법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내실화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연수원 교...
...
참고 자료
나민주, 교육행정 수요 변화를 반영한 교육지원청 조직 합리화 방안,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6.
이윤중, 교육지원청 기능 변화에 따른 교육전문직원 인사제도 개선 방안 연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박승우, 다문화 교육과 정책의 이해, 영남대학교출판부, 2019.
교육기회보장과,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2021.
경상북도 영주시 교육지원청 홈페이지 (http://www.gbe.kr/yj/main.do)
데이터안심구역 데이터 시각화 홈페이지 (영주시 경상북도)
http://datakorea.datastore.or.kr/profile/geo/05000KR47210/#category_%EC%99%B8%EA%B5%AD%EC%9D%B8_%EC%A0%95%EB%B3%B4
오형자(2017). 선진국의 교사 교권보호 정책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정미, 유기웅(2021). 교권(敎權)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근 10년(2011-2020)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8(3), 251-275
홍신기(2014). 주요국의 교권 보호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욱연구, 14(11), 21-48.
국제뉴스(2017. 3. 8.) “부산시교육청, 학생인권 + 교권 존중 '학교문화' 조성”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65770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