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정의와 특징
2. 문헌고찰
2.1.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병태생리
2.2.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원인
2.3.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
2.4.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진단 및 검사
2.5.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치료
2.6.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간호
2.7.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예후 및 합병증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환아 정보
3.1.2. 신체사정
3.1.3. 활력징후
3.1.4. 낙상평가도구
3.1.5. 진단검사
3.1.6. 사용약물
3.2. 간호과정 적용
3.2.1. 자료분석 및 간호진단
3.2.2. 간호계획
3.2.3. 간호수행 및 평가
4. 결론 및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연구가 필요한 것은 로타바이러스 장염이 아동에게 가장 흔한 장염이면서 가장 위험한 질환이기 때문이다. 별다른 치료약이 없고 전염성이 강해 아동에게 치명적이기 때문에 적절한 간호를 통해 합병증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예방을 위한 백신이 출시되었지만 접종시기를 놓쳤거나 하지 않은 영유아들을 중심으로 최근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2.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정의와 특징
로타바이러스 장염(Rotavirus enteritis)은 위와 소장에 오는 급성 염증으로서, 급성 설사병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오는 위장관계 질환이며, 어린 아동의 경우 5번째로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기도 하다. 심한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주된 합병증이다. 면역체계와 점막장벽기전(mucosal barrier)이 출생 후 부터 성숙되므로 영아의 위장관은 감염에 약하다. 흔히 위장관염은 오심과 구토(nausea & vomiting)가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며, 발열과 복통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균에 발병되며, 과도한 수분 손실로 인한 탈수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병태생리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장염은 여러 가지 유발 원인에 대해 장관이 반응하여 장액(luminal fluid)이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한다. 이로 인해 복통(abdominal pain), 구토, 심한 설사가 나타나며, 이차적으로 세포 내액의 고갈을 초래한다. 따라서 탈수와 전해질 손실이 발생된다. 바이러스성 위장관염의 병태생리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가 장의 상피세포에 직접 침입하여 상피세포를 손상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테리아성의 경우는 박테리아가 위장관을 침입하여 장의 점막층을 손상시키고 궤사와 궤양을 일으키게 되고, 세균이 혈류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박테리아가 배출하는 장독소(enterotoxin)가 소장 내에서 분비되는 체액과 전해질 분비를 자극하게 되고 소장의 흡수기능을 방해한다. 이로 인한 체액분비와 흡수 간의 불균형이 대변의 수분손실을 일으키고 설사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세균에 의한 전신감염과 국소적인 장의 염증으로 인해서도 설사가 유발된다.
2.2.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원인
Reovindae과에 속하는 Rotavirus가 주요 원인이다. 로타바이러스는 A부터 H군까지 8가지 군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 A, B, C군이 사람과 동물에서 감염을 일으키며, 이 중 A군이 사람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이 바이러스의 외형이 수레바퀴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로타(rota)'라고 명명되었다. 산에테르키모트립신 처리에 안정적이나 50℃ 10분에서 불활성화된다. 로타바이러스는 사람뿐만 아니라 포유동물, 조류의 변에서도 검출된다.
감염된 사람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증상이 없어진 후 10일 동안 로타바이러스가 대변에 존재한다. 주요 감염 경로는 대변-구강 감염이며, 이 때문에 화장실에서 변을 본 후 또는 기저귀를 갈아준 후 손을 씻지 않으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 또한 오염된 상수도나 식품, 공기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분만 시 또는 분만 직전 감염된 산모의 대변으로부터 감염될 수 있다.
2.3.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이다.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48시간 이하의 잠복기를 거쳐 중등도의 발열과 구토로 증상이 시작된다. 이어서 설사가 시작되며, 구토와 발열은 2일째에 호전되나 설사는 흔히 5~7일간 지속된다. 변에는 혈액이나 적혈구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설사가 심하면 탈수가 되며 특히 영아와 만성 위장관 질환이 있는 소아에서 잘 일어나며 면역기능이 억제된 소아에서는 심한 설사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2.4.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진단 및 검사
로타바이러스 장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건강력과 신체검진, 진단검사 결과를 활용한다. 특히 건강력을 작성할 때는 전체적인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체액불균형에 주안점을 두고 탈수상태를 유무를 면밀히 사정하여야 한다. 배변양상의 변화,...
참고 자료
현문사(2018), 아동간호학 상권
기초간호학회·대한미생물학회(2014), 간호미생물학
성인간호학, 458~460쪽
김형식(2005), 최근 로타바이러스 장관염에 대한 역학적, 임상적 변화에 대한 연구, 6-7쪽
김창렬(2013),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감염, 1-2쪽
메디업 질병정보, 예방접종 로타바이러스
(http://www.mediup.co.kr/board/index.html?id=dise&no=4813)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cms/content/mobile/30/69030_view.html
질병관리본부, 로타바이러스 발생 시 소독방법, 팜플렛
질병관리본부(2018),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표본감시 현황(표)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아동간호학Ⅰ, 김영혜, 2016, 수문사
아동간호학Ⅱ, 김영혜, 2016, 수문사
기본간호학Ⅰ, 송경애, 2017, 수문사
기본간호학Ⅱ, 송경애, 2017, 수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박은영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고문사)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 2015, 수문사
약학정보원
네이버 건강정보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