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질병과 건강 위험요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지역사회 보건 기획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 보건 기획 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중 PATCH(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Health) 모형과 MAPP(Mobilizing for Action through Planning and Partnerships) 모형, 그리고 논리모형(logic model)은 대표적인 지역사회 보건 기획 모형이다. 이들 모형은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과정을 제시한다. 또한 사회적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접근법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모형과 기법들은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 사업 개발과 수행에 있어 유용한 지침을 제공한다.
2. PATCH 모형
2.1. 지역사회 자원의 동원
프로그램 대상지역은 경상북도 구미시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할 주체는 구미시 거주 고혈압 환자 및 가족, 지역주민들이다. 프로그램 추진을 위해 구미시 보건소 건강증진과가 주축이 되어 지역사회 추진위원회를 조직화하고, 실무 작업팀을 구성한다. 홍보는 구미 관내 마을 이장들에게 홍보물을 발송하고 현수막을 설치하여 진행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2.2. 자료수집과 분석
구미시의 주요 질병 및 사고로 인한 사망률을 살펴보면, 신생물(104.4%), 순환계통 질환(64.5%), 내분비·영양 및 대사 질환(10.0%) 등이 높은 편이다. 특히 구미시의 고혈압성 질환 사망률이 십만명당 7.7%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구미시에는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의심되는 인원이 11,311명(2019년)이며, 고혈압 전단계 환자는 1,445명(2017년), 고혈압 환자는 1,324명(2017년)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만성질환 관리가 중요한 지역 보건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미시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행위를 살펴보면, 2018년도와 2019년도를 비교했을 때 현재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이 상승하였고, 비만율,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영양표시 독해율 등이 전년도 대비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영 중인 사업장 걷기프로그램의 참여자 걷기실천율도 5%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구미시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구미시민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9년도 기준 21.8%로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으며, 주관적 건강평가에서는 2019년도에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33.2%를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구미시민의 전반적인 건강 인식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미시의 만성질환 중 가장 중요도와 변화 가능성이 높은 고혈압에 대해,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행위 개선 및 건강 인식 향상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3. 건강우선순위 선정
구미시의 주요 건강문제는 고혈압, 당뇨병, 암, 관절염, 간질환, 정신질환 등이다. 이 중에서 고혈압이 가장 건강문제의 중요도와 변화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선, 고혈압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구미시의 고혈압성 질환 사망률은 10만 명당 7.7%로 전국 평균인 11.9%보다 낮지만, 여전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구미시에서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의심되는 인원은 11,311명, 고혈압 전단계 환자는 1,445명, 고혈압 환자는 1,324명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역주민의 건강행위를 볼 때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 구미시의 금연 시도율, 비만율, 신체활동 실천율, 영양표시 독해율이 전년도 대비 개선되었고, 걷기 프로그램 참여자의 걷기 실천율도 5% 상승하였다. 이는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또한 주관적 건강 평가에서도 32.2%가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응답하여, 지역주민들이 전반적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 주민들의 고혈압 관리 능력 향상을 통해 중요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구미시의 건강문제 중 고혈압을 최우선순위로 선정하고, 지역주민들의 고혈압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자 한다.
2.4. 포괄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PATCH 모형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포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존 자원과 정책, 환경 조치를 확인하고, 중복을 피하여 새로운 전략을 고안한다. 교육, 언론, 정책 활동, 환경 조치 등 다양한 중재 방법을 발굴하여 학교, 병원, 지역사회 등 여러 세팅에 적용한다. 개별 사업 목표는 국가 보건 목표와 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