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정형외과 인수인계 개요
정형외과 인수인계는 환자의 정형외과적 문제와 관련된 간호 업무를 체계적으로 인수인계하는 절차이다. 입원 환자의 상태, 주요 진단명, 수술 및 치료 경과, 간호 중재와 환자 교육 등 전반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지속적인 간호 제공을 위해 이러한 정보를 충실히 인수인계해야 한다. 의사소통의 정확성과 간호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환자 관리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정형외과 간호 인수인계의 핵심 목적이다. 이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간호사의 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정형외과 간호 인수인계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절차이며, 간호사는 이를 정확히 숙지하고 실천해야 한다.
1.2. 간호업무 인수인계의 중요성
간호업무 인수인계의 중요성이다. 간호업무 인수인계는 환자 안전과 지속적인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해 필수적이다. 인계 과정에서 환자의 현재 상태와 치료 경과, 간호 요구도 등을 정확히 전달함으로써 간호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 간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를 통해 환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의사결정과 간호중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인수인계를 표준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간호 업무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호업무 인수인계는 환자 간호의 질적 향상과 간호사 업무 만족도 제고에 기여한다. 따라서 병원은 간호사들이 효과적인 인계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
2. 환자 정보
2.1. 환자 기본 정보
여성/40세 환자로 입원 전 만취 상태에서 가정 폭력을 당하여 복부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통해 본원에 내원하였다. 입원 당시 얼굴과 눈 주변의 전반적인 부종과 타박상, 좌측 팔꿈치의 변형과 타박상, 양측 허벅지와 둔부의 타박상이 관찰되었다. 과거력상 특이사항은 없다.
2.2. 주요 진단명 및 병력
천00 님은 입원 전일(4/30)부터 호흡곤란을 호소하여 타 병원 검사상 우측 폐 삼출액(Rt. lung effusion) 소견을 보여 악성 늑막삼출(Malignant pleural effusion)로 진단받고 입원하였다. 당뇨병과 급성 폐렴의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로 5/9 우측 흉막관삽입술(Rt. PCD insertion)을 실시하였다. 입원 당시 얼굴과 양쪽 눈 부위의 전반적인 부종과 타박상, 구강 출혈이 있는 상태였으며, 좌측 팔꿈치의 변형과 타박상, 양측 허벅지와 둔부의 타박상 등 전신의 타박상이 관찰되었다. 과거력으로는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과 중 좌측 신장 손상 Grade III, 외상성 우측 기흉, 우측 7-8번 늑골 후방 골절, 안구 타박상, 뇌진탕, L2-4번 요추 횡돌기 골절, 좌측 원위 상완골 골절 등이 진단되었다. 신경정신과 상담 결과 불안 증상을 보여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2.3. 입원 경과
입원 당시 환자는 복부 통증을 호소하며 119를 통해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입원 직전 만취 상태에서 본인 주장으로 남편에게 구타당하였고, 이로 인한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좌측 신장 손상 grade 3, 우측 외상성 기흉, 우측 7-8번 늑골 골절, 안구 타박상, 뇌진탕, 요추 횡돌기 골절, 좌측 원위 상완골 골절 등을 진단받았다. 처음 내원 시 얼굴과 양쪽 눈 주변의 전체적인 부종과 타박상, 구강 내 출혈이 있었으며, 좌측 팔꿈치의 변형과 타박상, 양측 대퇴와 둔부의 전신적인 타박상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12월 8일 ORIF/c screw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7일째 ICU에서 일반 병동으로 전동되었다. 현재 좌측 장골 부목을 착용하고 있으며, 불안증상으로 NP 약물 처방을 받고 있다. []
환자는 입원 기간 동안 정형외과 진료와 검사를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Bone scan과 좌측 팔꿈치 CT 검사를 받았으며, 혈액 검사 결과에서 Hb, Hct, RBC 수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총 3차례의 수혈을 받았다. 또한 간 기능 검사 결과 수치 상승이 관찰되어 레가론 캡슐 처방을 받았다. 환자의 전신적인 타박상과 골절로 인해 통증과 불편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불안증상으로 인한 수면장애로 인해 정신과 약물 처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
3. 간호 관리
3.1. 주요 증상 관리
환자는 Rt. PCD 삽입 부위를 포함한 전신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Rt. PCD 삽입 부위의 통증은 NRS 5점의 쑤시는 양상이다. 환자는 이로 인해 컨디션 저하와 기력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체온이 39.0℃까지 상승하여 고열과 오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이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