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루틴의 정의와 중요성 :루틴의 효과(Jim Taylor)에 대하여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루틴의 정의와 중요성
2.1. 루틴의 개념 정의
2.2. 루틴 개발 가이드라인
2.2.1. 신체적, 정신적 느낌의 창조
2.2.2. 리듬의 개발
2.2.3. 수행의 시연
2.2.4. 단서 고정화
2.2.5. 소결
2.3. 루틴의 종류
2.3.1. 수행 루틴
2.3.2. 집중을 위한 루틴
3. 루틴의 효과(Jim Taylor)
3.1. 준비
3.2. 조절력
3.3. 적응력
3.4. 자각
3.5. 통합능력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스포츠 선수들은 신체 능력과 기술을 극대화하여 좋은 성적을 내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선수들에게 실전 경기는 실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이며, 이를 위해 선수들은 평소에도 실전과 같은 감각을 익히기 위해 노력한다. 루틴을 만드는 것은 선수가 경기에 임할 때와 같은 자세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과거에는 일부 스타 선수들에게서만 발견되던 루틴이 최근에는 대부분의 운동 선수들에게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루틴이 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루틴의 정의와 중요성, 그리고 심리학자 Jim Taylor의 연구를 중심으로 루틴이 선수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2. 루틴의 정의와 중요성
2.1. 루틴의 개념 정의
루틴은 규칙과 일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선수 개인의 고유한 행동이나 관계로 어떤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본인이 만들어놓은 순서에 따라 진행하는 심리적 준비상태를 뜻한다. 루틴은 완벽한 운동 수행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 선수들이 수행하는 행위로, 루틴을 가진 선수와 그렇지 않은 선수 사이에는 주의집중 능력과 경기 결과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는 루틴이 선수가 평소에 얼마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마인드 컨트롤을 하기 위해 노력했는지를 보여주는 산물이기 때문이다.
2.2. 루틴 개발 가이드라인
2.2.1. 신체적, 정신적 느낌의 창조
루틴은 선수가 경기에 앞서 최적의 수행을 위해 신체와 심리의 상태를 최적화하는 의식적인 행동이다. 특히 선수들은 경기에 임하기 전에 고도의 긴장감과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선수가 최상의 기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선수 스스로 긴장을 완화하고 마인드 컨트롤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루틴을 통해 선수는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궁 선수가 경기 전에 심호흡을 하고 명상을 수행하는 것은 긴장감을 줄이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축구 선수가 페널티킥을 앞두고 자신을 격려하는 말을 되뇌이는 것은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처럼 루틴은 선수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도하여 경기에서 최상의 수행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루틴을 통해 선수는 경기장 환경이나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오로지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다. 특히 많은 관중이 존재하는 경기 상황에서 선수는 고도의 긴장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때 선수만의 루틴을 수행하면 이러한 외부적 요인들을 차단하고 내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결국 루틴은 선수가 경기에 임할 때 최적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핵심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2.2.2. 리듬의 개발
선수가 루틴을 개발할 때는 최상의 경기력을 낼 수 있는 리듬의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야구 선수들 중에는 본인이 타격을 했을 때 최상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연습한 뒤 타격에 임하는 선수들이 있는데, 이러한 루틴은 선수에게 경기력에 도움이 되는 리듬감을 제공한다. 이처럼 리듬감 있는 루틴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연습하면 선수는 실제 경기에서도 자신의 기량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선수가 경기 상황에...
참고 자료
최예은, [꼬리에 꼬리를 무슨 스포츠 이야기] 루틴, 우리는 깐부잖아. 스포츠 스타들의 루틴 이야기, KUSF 대학스포츠, 2022.4.11.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610277&memberNo=1352526)
유경호, 2014.2. 루틴 훈련이 주니어 골프 선수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일 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23권 제1호, 한국체육학회, pp.525-545
김병현, 양궁 선수들의 시합 전, 시합 중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 개발, 200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3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pp.119-143
김진호, 2005.12.30. 양궁선수를 위한 루틴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9권 제6호, 한국여성체육학회, pp.41-52
피주영, 2022.6.30. 돌아온 나달, 그의 승리 뒤인 12가지 버릇 있다
손영래, 2014.8.배드민턴 동호회의 루틴 적용과 스포츠 수행전략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이용현, 2015.11.30. 골프 포스트샷 루틴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탐색적 사례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6권 제4호 통권 79호 pp.17-29, 한국스포츠심리학회
김병현, 2007.8.30. 양궁 선수들의 시합 전, 시합 중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3호 통권 46호, pp. 119-143,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연합뉴스, 2008.8.14. [올림픽] 여자 양궁, 中 관중 소음방해 덫에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