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와사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와사키병의 정의와 원인
3. 가와사키병의 병태생리 및 증상
4. 가와사키병의 진단
5. 가와사키병의 치료
6. 가와사키병의 간호
7. 가와사키병의 예후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와사키병은 주로 아동에게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혈관염이다. 피부, 점막, 림프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장 큰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류가 있다. 1967년 일본의 가와사키 토미사쿠 의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알려지고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1~4세의 영유아기에 발병하며, 늦겨울과 초봄에 주로 발생한다.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감염에 의해 면역체계의 변화가 와서 전신적으로 혈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와사키병은 관상동맥 합병증의 주된 원인이 되어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2. 가와사키병의 정의와 원인
가와사키병은 1967년 일본 소아과 의사 토미사쿠 가와사키에 의해 처음 보고된 질환이다. 가와사키병은 주로 아동에게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혈관염이 나타나는 급성, 열성, 발진성 질환이다. 피부, 점막, 림프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장 큰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류가 있다. 가와사키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전학적 요인과 감염 병원체에 의한 면역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 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서 발병하며, 나이에 따라 발생 빈도가 달리 나타나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또한 재발률은 3% 정도로 알려져 있다.
3. 가와사키병의 병태생리 및 증상
가와사키병은 중간 크기의 혈관을 주로 침범하는 질환으로,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 세포에서 염증과 부종이 생긴다. 그 결과 혈관이 늘어지며 약해지는데 관상동맥 역시 영향을 받는다. 관상동맥류는 발병 후 7일째 발생하며 동맥류가 발생한 혈관에서 혈류의 흐름이 느려질 시 관상동맥 혈전증 역시 생길 수 있다.
가와사키병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지며, 단계별로 특징적인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급성단계(10-14일)에는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5일 이상 지속되는 열, 양 눈의 비삼출성 결막염, 점막의 변화(홍반, 딸기혀 등), 사지의...
참고 자료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2015)
박은숙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2016)
권원경 외,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Manilynn Jackson 외, 『포널스‘s 포켓 시리즈 약물·임상 검사』, 포널스(2009)
방경숙외 최신 아동간호학, 학지사 메디컬
김미애 외, 최신 아동 간호학 총론, 수문사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 수문사
최정신 외,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성미혜외,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부천성모병원 가05병동 소아청소년과 질환별 부록 [Kawasaki disease]
N 의학정보 -가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 서울대학교 병원 |
건강매거진 -가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https://www.mdon.co.kr/news/article.html?no=27549 [소아가 주의해야 하는 ‘가와사키병’]
[네이버 지식백과] 가와사키병 [Kawasaki disease]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8 : 결합조직질환, 2013. 3. 21.)
약학정보원.[전자자료] http://www.health.kr/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고정미, 김향동, 김현정, 조미희, 주영주 외 공저. ㈜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