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손씻기수행률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손씻기수행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배경
1.2. 사업 목적
1.3. 조사대상
1.4. 용어의 정의

2. 본론
2.1. 조사방법 및 사업활동
2.1.1. 설문조사
2.1.2. 사전조사
2.1.3. 손씻기 증진 프로그램
2.1.4. 손배양검사
2.1.5. 다제내성균주 발현환자 손씻기 강화
2.1.6. 사후조사
2.2. 결과
2.2.1. 설문지 조사결과
2.2.2. 직접 관찰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의 배경

병원은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고 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사람들이 모여 있으며 수술을 비롯한 기타 여러 가지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손씻기는 감염의 전파경로가 되는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중환자실에서 의료진의 실제적인 손씻기 수행률은 10.34%로 낮다. 따라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중환자실 직원의 손씻기 수행률을 높이기 위해 활동을 계획하였다.


1.2. 사업 목적

일반적 목적은 손씻기 증진 프로그램이 의료인의 손씻기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과 의료인의 손씻기 증진이 VRE 보균자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로는 주요 간호행위별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 향상, 주요 처치별 의사의 손씻기 수행도 향상, 주요 행위별 보조인력의 손씻기 수행도 향상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원의 내·외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환자실 인턴, 상주 주치의 및 중환자실을 출입하는 의사, 간호보조인력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3. 조사대상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본원(한림대학교성심병원) 내·외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44명, 중환자실 인턴 4명, 상주 주치의 2명, 중환자실을 출입하는 의사 전부와 간호보조인력 10명이다.

간호사의 손씻기 상황은 Feeding 전·후, Injection 전·후, IV line change 전, Suction 전·후, F-cath 삽입 전·후, 소변백·대변기 접촉 후, 체위변경 전·후, 각종 드레싱 전·후, 환자 접촉 전·후로 총 16개 상황이다. 의사의 손씻기 상황은 환자실 입·퇴실 시 환자 접촉 전·후, sampling 전·후, 각종 침습적 시술 전·후로 총 8개 상황이다. 간호 보조인력의 손씻기 상황은 중환자실 입·퇴실시 환자 접촉 전·후, 체위변경 전·후, 소변백·대변백 접촉 후로 총 7개 상황이다.

손씻기는 물과 비누 또는 손소독제로 손을 씻는 것을 의미하며, 손씻기 수행률은 손을 씻어야 할 상황의 횟수와 손을 씻은 횟수를 표시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1.4. 용어의 정의

손씻기 교육이란 교재 및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손씻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손을 씻어야 하는 간호 상황, 손 씻는 시간, 손 닦는 부위, 수도꼭지 잠그는 방법 등을 포함한 교육이다. 손씻기란 미생물을 전파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비누나 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이다. 간호사는 Feeding 전·후, Injection 전·후, IV line change 전, Suction 전·후, F-cath 삽입 전·후, 소변백·대변기 접촉 후, 체위변경 전·후, 각종 드레싱 전·후, 환자 접촉 전·후의 16개 상황에서 손을 씻어야 한다. 의사는 환자실 입·퇴실 시 환자 접촉 전·후, sampling 전·후, 각종 침습적 시술 전·후의 8개 상황에서 손을 씻어야 한다...


참고 자료

대한간호학회지 111-119, 『손씻기 증진 프로그램이 의료진의 손씻기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성심병원, 감염관리실 신명진, 내과중환자실 이희정, 외과중환자실 김영미, 감염뇌과 정두련
박대권, 『일부 고등학생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2007, p. 1~2, 5
질병관리본부 - 지방행정연수원, 시·도 공무원교육원, 『역학 및 감염병 관리』, 2014, p.5
질병관리본부 - 건양대학교,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씻기 실태조사 및 실천률 향상 전략 개발』, p. 1~3, 12, 21, 25, 406
김민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손씻기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손씻기 지식, 태도, 실천에 미치는 효과, 2010, p. 1~3, 10~12, 49
임옥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손씻기 교육과 피드백이 손씻기 빈도 및 방법에 미치는 영향, 2004, p. 1~2, 7~8
이재훈,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감염병 예방 교육용 게임 설계 및 구현, 2015, p. 1~2, 12~13, 16
한명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손씻기 교육프로그램이 손씻기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2003, p. 22, 25
질병관리본부 (범국민 손씻기 운동본부) http://cdc.go.kr/CDC/main.jsp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http://www.mohw.go.kr/front_new/index.jsp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홈페이지 www.cmc.or.kr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http://www.samsunghospital.com
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사회재난 ‘감염병유행’ http://www.ndmi.go.kr/promote/knowledge/human.jsp
질병관리본부 ‘일반적인 전염병 예방요령 및 질병별 특성’http://cdc.go.kr/CDC/info/CdcKrNqs0103.jsp?menuIds=HOME001-MNU1132-MNU1394-MNU1721-MNU1725&cid=50373
연합뉴스, 감염병 예방 '손씻기'…절반은 1∼5초만에 '쓱', 전명훈 기자, 2016.10.11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11/0200000000AKR20161011082100017.HTML
아시아경제, 『인플루엔자 유행 빨라…초·중·고등학생 급증』, 정종오 기자, 2016.12.19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2150907142033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