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에 대해 ①학습 대상, ②목적과 기능, ③제작 의도와 목표, ④구현 매체, ⑤기타의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해 보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
2.1. 학습 대상
2.2. 목적과 기능
2.3. 제작 의도와 목표
2.4. 구현 매체
2.5. 기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는 언어 교육 및 학습에 있어 중요한 도구이다. 국어 교과서는 국내 학교 교육체계에서 활용되며,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한다. 반면 한국어 교재는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작된다. 이 두 자료 유형은 학습 대상, 목적과 기능, 제작 의도와 목표, 구현 매체, 기타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를 면밀히 비교 분석하여 언어 교육 분야에서 적절한 선택과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2.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
2.1. 학습 대상
국어 교과서는 국내 학교 교육체계에서 주로 사용되며, 국어가 모국어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 시대의 변화에 따라 대상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한국인 학생들이 주된 대상이다. 이와 달리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을 주 대상으로 한다. 외국인 학습자, 해외 거주자, 유학생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상별 교재에 따라 그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주된 학습 대상이 된다.
2.2. 목적과 기능
국어 교과서의 경우 한국어 자체를 배우는 것만이 목적이 아니라 한국어의 언어사용능력, 사회적 소통능력, 국어문화의 계승과 발전 등에 넓은 의미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국어 교과서로 이루어진 국어교육은 성취도나 숙달도 차원보다는 궁극적으로 과정적이고 수행적인 종합 평가를 통해 평가해야 한다.
한국어 교재의 경우 학습 수요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만들게 되고 이를 근거로 상향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무엇보다 한국어의 사용 능력 숙달도를 높이기 위해서 기본적인 목적이 있으며, 문법과 어휘를 재료로 활용하여 언어기능별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 배론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재론, 서종학, 이미향, 박진욱 서울 : 한국문화사, 2017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제공된 교안
김나영. "초등학교 교과서와 한국어(KSL) 교재의 통사적 난이도 비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8. 서울
http://www.riss.kr/link?id=T14889126
최은희.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경상북도
http://www.riss.kr/link?id=T13534531
이필범. "생활국어 교과서 사용 실태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부산
http://www.riss.kr/link?id=T10083912
김나영.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국어지식 내용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서울
http://www.riss.kr/link?id=T11715490
김서형. (2013).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작품 비교 연구 -전래 동화를 중심으로
홍정현. (2017). 초・중등 한국어 교재의 자모 교육 내용 연구 - 「표준 한국어」와 2009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