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직장암 항암치료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1.2.1. 질병명: 결장암(colon cancer)
1.2.2. 정의 및 원인
1.2.3. 증상
1.2.4. 진단 방법
1.2.5. 치료 방법
2. 간호과정(사례연구)
2.1. 간호 사정
2.1.1. 주호소
2.1.2. 현병력
2.1.3. 과거력
2.1.4. 가족력
2.2. 자료분석 및 간호진단
2.3. 간호 계획/수행/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보건 의료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질환이다. 암 진단은 죽음과 연결하여 생각하게 되므로 암 환자에게는 전인적이고 포괄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결장암(colon cancer)은 우리나라에서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 됨에 따라 발생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 할 수 있는 질병이므로 앞으로 많은 케이스의 환자를 접하게 될 것이다. 이에 결장암의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결장암은 악성 종양의 약 70% 는 결장 원위부(S상결장)이며, 이어 하행결장· 상행결장의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결장암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 가능하고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며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확실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50세 이상 연령과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음식 및 너무 정제된 음식과 가족적 성향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결장암의 임상증상은 대개 비특이적이고 질병이 진전될 때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주요 증상으로는 직장출혈, 배변 습관의 변화, 장폐색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직장지두검진, 대변 guaiac 검사, 결장경검사 등이 시행되며, 임상병리 검사로는 빈혈 확인을 위한 CBC, 간 전이 확인을 위한 간기능 검사, CEA 등이 확인된다.
치료 방법으로는 내과적 치료인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 외과적 치료인 결장암 수술 등이 있다. 수술 전 후 간호로는 장 준비, 불안 완화, 통증 관리, 배뇨 및 성기능 장애 예방, 상처 관리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장암과 관련된 간호 문제를 인지하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통해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문헌고찰
1.2.1. 질병명: 결장암(colon cancer)
결장암(colon cancer)은 결장(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결장암의 약 70%는 결장 원위부(S상결장)에서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하행결장, 상행결장의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다. 결장암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한다. 또한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50세 이상 연령,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음식 및 정제 음식 섭취, 가족적 성향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저섬유소 식이는 변의 양이 적어 장내 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발암 물질과 장 점막이 오래 접촉하게 되므로 위험 요인이 된다. 또한 고칼로리의 지방 음식과 육류 과다 섭취 또한 암 발생과 관련된다. 그 외에도 만성 궤양성 대장염, 대장 폴립 등의 병력이 있으면 위험이 더 높아진다.
결장암의 임상 증상은 대개 비특이적이며, 질병이 진전될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장 흔한 증상은 직장 출혈이며, 대부분의 환자들이 이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하게 된다. 그 외에도 배변...
참고 자료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4/cancer/view.do?cancer_seq=3797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02
진단검사의학 5판, 고려의학, 2014Simerville JA, Maxted WC, Pahira JJ. Urinalysis: A comprehensive review. Am Fam Physician 2005;71:1153-62
김금순,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향숙, 이면선, 서연옥...황혜민 (2017). 성인간호학(8th ed.). 서울: 수문사
김조자 외 4명(2014). 간호과정(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서울: 수문사,
약학정보원, www.health.kr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7, p455~463
심옥수 외 공저,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2015, p,45~74
김정애 외 공저, 쉽게 내리는 간호진단, 수문사 , 2015, p 40, p63,p 149,p270
김영경 외 공저, 간호와 영양, 현문사, 2016, p300~301
양선희 외 공저, 핵심 기본간호 수기, 현문사, 2016, p 3, p214~218, p245~246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6, p226~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