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조기진통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5.07.17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조기진통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기진통 간호진단
2.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2.2.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2.3. 대상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2.4.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2.5. 개념도(Concept Care Maps)
2.6. 간호계획, 수행, 평가

3. 보고서
3.1. 사례보고서
3.1.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3.1.2. 병태생리
3.1.3. 진단/검사
3.1.4. 치료

4. GERD(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4.1. 정의
4.2. 원인
4.3. 증상
4.4. 진단/검사
4.5. 치료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조기진통은 임신 20주~37주 사이에 산모의 자궁 경부가 80% 이상 얇아지고, 자궁 경부의 확장이 1cm 이상인 상태이면서 자궁수축이 20분에 4회 이상이거나 60분에 8회 이상일 때 진단한다. 이는 신생아 사망 및 이환의 70-85%에 해당되며 이중 40-50%가 조기진통에 의한다. 조기진통의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유산의 과거력,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흡연, 조산 과거력, 조기양막파수, 태반조기박리, 자궁 기형, 고령 산모, 20세 이하의 어린 산모, 요로계 감염, 양수과다증, 다태아, 낮은 진폭의 잦은 자궁수축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조기진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정가료, 금욕, 경구 및 비경구로의 수분공급이 필요하며 자궁수축억제제 사용도 고려해볼 수 있다.


2. 조기진통 간호진단
2.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성명 김OO는 35세 여성이며, 임신 33주 4일의 경산부이다. 현재 preterm labor pain과 visible membrane 1cm로 인해 입원했다. 주 진단명은 Supervision of high-risk pregnancy, unspecified이며, 부진단명으로는 Pulmonary thromboembolism, Preterm labor without delivery 22-34 weeks pregnant, Myoma uteri,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ith esophagitis가 있다.

기저질환으로는 자궁근종(Ut. myoma, 5.5x5cm, Rt. post)이 있으며, 2022년 9월에 COVID-19에 감염되어 격리 해제된 병력이 있다. 가족력에는 특이사항이 없다.

산과력은 G1P1L1이며, 첫 번째 자녀는 남아로 2세, 출생체중 2.8kg, 정상 질식 분만을 했다. 임신 주기별 체중 증가는 60kg/67.7kg이며, 현재 33주 임신시 태아 선진부는 vertex(ROA), 자궁저부 위치는 RLQ로 확인되었다. 최근 임신 기간 중 자궁경부 개대 검사 결과는 2/20 int. os 5cm, ext. os 1.2cm, 2/24 int. os 4.5cm, ext. os 1.5cm, 2/28 ext. os 0.9cm, 3/4 ext os 7mm 등으로 점진적인 개대가 관찰되었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BP 100/50mmHg, PR 92회/분, RR 20회/분, BT 37.3℃이었다. 3/7 BT 36.5℃, PR 122회/분, RR 22회/분, BP 110/60mmHg, SpO2 92%를 보였고, 3/8 BT 36.4℃, PR 115회/분, RR 20회/분, BP 100/60mmHg, SpO2 94%, 3/9 BT 36.8℃, PR 107회/분, RR 20회/분, BP 110/60mmHg, SpO2 94%, 3/10 BT 36.0℃, PR 101회/분, RR 20회/분, BP 110/60mmHg, SpO2 95%로 변화를 보였다.

검사 결과, 입원 당일 WBC 9.29x10^3/㎕, RBC 3.90x10^6/㎕, Hgb 12.8g/dL, Hct 35.8%, PLT 282x10^3/㎕, aPTT 24.2초, Na 133mEq/L, K 3.6mEq/L, Cl 103mEq/L, Glucose 84mg/dL, BUN 6mg/dL, Creatinine 0.36mg/dL, Protein 5.4g/dL, Albumin 3.3g/dL, Ca 8.6mg/dL, Phosphate 4.5mg/dL였으며, 3/8 검사 결과 WBC 10.15x10^3/㎕, Hgb 12.2g/dL, Na 135mEq/L, BUN 4mg/dL, Creatinine 0.32mg/dL, Protein 5.6g/dL, Albumin 3.4g/dL로 나타났다.


2.2.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 의약품 정보 (https://www.amc.seoul.kr/asan/main.do)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최연순 외. (2020).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고정임. (2008). 조기진통 임부의 신체적 불편감, 정서적 상태 및 간호 요구도와의 관계. 서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200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