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콘크리트 배합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및 목적
2. 혼합재료의 역할 및 연구
2.1. 실리카 퓸(Silica fume)
2.2. 실리카 샌드(Silica sand)
2.3. 실리카 분말(Silica powder)
2.4. 유동화제(Super-plasticizer)
2.5. 비틀림 강섬유(Twisted fiber)
2.6. 물(Water)
3. 배합비
3.1. 배합비
3.2. 배합비 선정 이유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분석
5.1. 압축강도 영향 요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및 목적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공시체를 제작하여 측정하게 된다. 제공된 배합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원하는 강도의 콘크리트를 타설 하는데 적합한 배합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재료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가장 경제적으로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는 재료를 선정할 수 있다. 압축강도를 파악함으로서 콘크리트의 성질을 추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와 실제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품질을 알고 설계과정에서 압축강도의 예측이 가능하며 그 밖의 다른 성질에 대해서도 예측할 수 있다.
초미립자 혼화재로써 내구성과 강도증진을 통해 고강도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이다. 실리카퓸의 입자 95%이상은 1㎛미만의 매우 미세한 입자로써 콘크리트 혼합과정에서 분산 되지 않을 경우 점성 증가에 따른 유동성 및 펌핑성 등의 작업성 저하와 불균일한 콘크리트의 품질을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라카퓸을 콘크리트 내에서 적절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리카퓸의 SiO2 함량에 따라 강도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분말형 실리카퓸을 사용한 경우는 실리카퓸의 SiO2 함량이 증가할수록 포졸란반응성이 증진되어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규사분말의 공극충진효과에 의하여 강도증진 및 내화학성을 우수하게 해준다. 규사로 인해 플로우 값이 커져 유동성이 나타나며 이는 규사 분말이 결정성 실리카로서 흡수량이 적어 시멘트와 모래 입자 사이에서 볼베어링작용(마찰감소)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산성에 의한 내구성을 갖게 해주고 미세한 규사분말의 공극 충진 효과에 의해 외관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퓸, 샌드, 분말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나눈 것으로 콘크리트에서의 역할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고성능감수제라고도 하며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콘크리트 및 모르터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을 개선하거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콘크리트는 인장, 휨 및 충격강도가 낮고 에너지 흡수 능력이 작아 매우 취성적이고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작기 때문에 강섬유를 혼입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제작한다. 강섬유의 혼입은 휨강도, 피로강도, 균열 저항능력, 쪼개짐에 있어서 향상을 가져온다. 강섬유가 내부 균열진전을 구속하기 때문에 균열 발생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인장강도 역시 강섬유의 혼입률을 증가시킴에 따라 크게 개선된다.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물은 청정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산, 기름, 알칼리, 염분, 유기물 그리고 콘크리트 및 철근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또는 알루미늄 제품을 매입한 콘크리트의 배합에 사용하는 물과 골재의 표면수는 유해량의 염소이온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식수로서 부적당한 물은 다음에 열거한 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면 콘크리트에 사용될 수 없다.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용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보통 포틀랜드시멘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500kgf/cm2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시에는 콘크리트 배합의 특성상 단위시멘트량이 증가되어 수화열과 작업성의 조절에 부담이 커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리카 흄, 글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 등의 혼합재룔를 첨가하거나 이것들이 혼합된 혼합시멘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의 강도는 배합과 양생 조건이 일정한 경우 물시멘트비에 반비례한다. 물시멘트비가 작아질수록 결합수는 많아지고 시멘트 겔의 체적도 커져 치밀한 구조체를 얻기가 용이하다. 또한 실리카 계열의 재료와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워커빌리티를 높혀 작은 물시멘트비로도 재료가 골고루 섞이게 하였으며, 실리카 퓸, 실리카 샌드, 실리카 파우더의 구조가 다른 재료를 적당히 배합하여 볼베어링...
참고 자료
김기훈 외 5명 “초고강도용 시멘트 결합재의 물성에 미치는 실리카퓸 종류의 영향”, 2005
장진봉 외 3명 “소성조건에 따른 폐 벤토나이트의 포졸란 반응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02
국토교통전자정보관 “콘크리트표준시방서”, 2009, http://www.codil.or.kr/
연현민 “강섬유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물성에 관한 연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