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약자 건축의 필요성
사회약자 건축의 필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대 사회는 기술 발전과 더불어 장애인, 노인, 임산부, 유아 등 다양한 인구 집단의 권리와 필요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이동의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현대에서 노인 인구에게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과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그들의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임산부와 어린 자녀를 동반한 사람들 역시 이동과 활동에 있어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포함한 모든 사회적 약자를 위한 건축 환경 구축이 중요하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인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신체적 불편을 겪는 사람들도 포함하여 더 나은 접근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교통수단, 공공시설, 상업시설 등에서 휠체어 사용자, 유모차를 사용하는 부모, 노약자들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법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1.2. 연구의 배경과 목적
사회약자 건축의 필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장애인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장애인과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그들의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임산부와 어린 자녀를 동반한 사람들 역시 이동과 활동에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사회약자를 위한 건축 환경 조성은 특정 집단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두에게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인프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노인, 임산부 및 유아와 같은 사회적 약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더 나은 접근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2. 유니버설 디자인
2.1.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은 장애, 연령, 성별, 언어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시설물과 제품이나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 환경을 설계하는 것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배리어프리 디자인과 차이가 있는데, 사회적 약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며 정량적 계획지표를 넘어 정성적인 방향도 제시한다. 경기도 등에서는 공공공간, 공공건축물, 가로시설물 등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육시설 건축시 배치계획과 평면계획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마령 활력센터, 송파문정지구 등에서 무단차 동선, 장애인을 배려한 편의시설 등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가 있다. 이처럼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리적, 제도적, 정보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2.2.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사례
주민의 보편적인 일상활동을 지원하는 마령 활력센터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주민공동시설로, 건물 내외부에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이 시설은 무단차 진입동선과 엘리베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