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장세분화와 제품위치화 소비자구매행동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시장세분화와 제품위치화
2.1. 시장세분화의 이해
2.1.1. 시장세분화의 개념과 중요성
2.1.2. 시장세분화의 기준
2.2. 표적시장 선정
2.2.1. 표적시장 선정의 의의
2.2.2. 표적시장 선정 요인
2.3. 제품 포지셔닝
2.3.1. 포지셔닝의 개념
2.3.2. 포지셔닝 전략의 수립
3. 소비자구매행동론
3.1. 소비자 행동의 이해
3.1.1. 소비자 행동 모델
3.1.2. 소비자 의사 결정 과정
3.2. 소비자 구매 의사결정 유형
3.2.1. 복잡한 구매행동
3.2.2. 다양성 추구 구매행동
3.2.3. 습관적 구매행동
3.2.4. 단순한 구매행동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마케팅은 기업이 "시장(Market)"에서 매출을 창출하고 그에 따른 이윤(Profit)을 만들어내기 위한 행위이다. 특히 오늘날에는 시장에서 소비자와의 관계를 어떻게 맺는지에 따라 이러한 매출 및 이윤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중심적 접근이 채택되고 있다. 즉 기업과 기업 간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제품 간 차별화(differentiation)가 어려워지는 한편으로,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은 고도화되어 이들은 보다 자신에게 잘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자신이 판매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비자, 그러한 잠재적 욕구를 갖고 있으며 제품 및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 등에 의해 효용을 느낄 가능성이 높은 소비자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2. 시장세분화와 제품위치화
2.1. 시장세분화의 이해
2.1.1. 시장세분화의 개념과 중요성
시장세분화란 전체 소비자 집단을 어떠한 특징을 공유하는 하위 소비자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전체 시장을 동질적인 수요를 가진 소비자들의 집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이질적인 수요를 가진 소비자들의 개별 집단으로 구성된 전체 모집단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시장세분화의 기준은 인구통계학적 기준, 지리적 기준, 행동적 기준 및 사회심리적 기준 등 다양할 수 있다. 소비자의 구매 행동은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지리적 위치, 구매 행동 특성, 심리적 특성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세분화는 기업이 전체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업은 시장세분화를 통해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를 가장 잘 소구할 수 있는 소비자 집단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맞추어 마케팅 활동을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제품 간 차별화가 어려워지는 오늘날, 시장세분화는 기업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특정 소비자 집단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 마케팅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2.1.2. 시장세분화의 기준
시장세분화의 기준으로는 인구통계학적 기준, 지리적 기준, 행동적 기준, 사회심리적 기준 등이 사용된다. 인구통계학적 기준에는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수준 등이 포함된다. 지리적 기준은 소비자의 거주지역이나 주요 활동지역을 고려한다. 행동적 기준에는 소비자의 구매 빈도, 제품 사용량, 주요 편익 추구, 브랜드 충성도 등이 해당된다. 사회심리적 기준으로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선호도, 개성 등이 활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기준을 통해 전체 시장을 동질적인 특성을 지닌 세분시장으로 구분함으로써, 기업은 각 세분시장의 욕구에 적합한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이는 소비자 지향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 필수적이다.
2.2. 표적시장 선정
2.2.1. 표적시장 선정의 의의
표적시장 선정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업은 세분화된 시장들 중 몇 개의 표적 시장을 선정함으로써 기업이 적극적으로 공략할 시장 및 소비자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기업이 여러 개의 세분 시장 중 표적시장을 선정하는 요인으로는 소비자의 매력 수준, 시장 내 기업경쟁 수준, 시장 내 기업의 교섭력 등이 있다. 소비자의 매력 수준이란 타깃 시장에...
참고 자료
김연희 and 이규혜. (2011). 패션 시장세분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복식문화연구, 19(2), 116-131.
양혜정 and 황선진. (2015).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따른 SPA브랜드 유형과 판매촉진 유형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4), 139-151.
조현진 and 장동련. (2017). 라이프스타일이 구매행동과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4), 133-144.
최미영. (2015). 중국 여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소비행동 특징 -20∼30대 신흥중산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2), 109-127.
양진숙. (2009).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업의 STP 전략에 관한 연구 -영국의 ‘THE BODY SHOP’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2), 269-280.
왕위 and 전기흥. (2019). 한국 화장품의 중국 진출에 관한 연구: 아모레퍼시픽의 STP 전략을 중심으로. 콘텐츠와산업,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