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어의 문법적 특성
1.1. 형태적 특성
국어의 형태적 특성이다.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였다.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만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중요하며, 분류사(단위성의존명사)가 발달하였다.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한적이고, 관계대명사/관사/접속사가 없다. 허형식(가주어), 잉여사(존재문)도 없다. 성, 수, 인칭 등의 일치현상도 없으며, 복수대상에 복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된다. 동사와 형용사가 유사한 활용을 하는 특징이 있다.
1.2. 통사적 특성
SOV형 언어
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갖는 SOV형 언어이다. 주어와 목적어가 동사 앞에 놓이는 유형으로, 영어와 같은 SVO형 언어와 구분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수식어-피수식어의 순서가 고정되며, 피수식어는 반드시 수식어 뒤에 위치한다. 또한 명사와 용언 뒤에 조사와 어미가 결합되어 문장이 구성된다.
좌분지 언어
국어는 수식어-피수식어의 어순이 고정된 좌분지 언어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수식어는 언제나 피수식어 앞에 오며, 피수식어는 반드시 수식어 뒤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아주 어렵다'와 같이 관형사가 명사 앞에 오고, '새 집'과 같이 관형사형 어미가 명사 앞에 오는 것이 그 특징이다.
핵 끝머리 언어
국어는 술어인 동사와 용언이 문장의 맨 끝에 위치하는 핵 끝머리 언어이다. 따라서 문장의 구조에서 피수식어와 동사가 항상 문장의 마지막에 오게 된다. 또한 명사와 용언 다음으로 조사와 어미가 연결되는 형태로 문장이 구성된다.
자유어순 언어
국어는 동사를 제외한 문장성분의 순서가 비교적 자유로운 자유어순 언어의 특징을 갖는다.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문장성분들은 문장 내에서 쉽게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자유로운 어순으로 인해 문장의 구조가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담화 중심적 언어
국어는 담화 상황에서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대상이나 정보는 생략할 수 있는 담화 중심적 언어이다. 이에 따라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 등의 문장성분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중 주어문과 같은 구조를 통해 주제를 부각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통사적 이동이 드묾
국어는 심층구조에서 표면구조로 이르는 과정에서 문장성분의 이동이 드문 언어이다. 따라서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의 문장성분들이 원래의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유지된다.
경어법이 발달
국어는 대우법, 높임법이 발달한 언어로,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6등급의 경어법을 사용한다. 이는 화자와 청자 간의 사회적 지위와 친소 관계를 반영하는 문법적 수단이다.
2. 형태소
2.1. 형태소의 종류
자립 형태소는 자립하여 쓸 수 있는 형태소이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가 자립 형태소에 해당한다.
반면 의존 형태소는 자립하여 쓰일 수 없고 다른 형태소에 의지하여 사용되는 형태소이다. 용언의 어간, 조사, 어미, 접사 등이 의존 형태소에 속한다.
형식 형태소는 문법적인 기능만을 가지는 형태소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다. 조사와 어미가 대표적인 형식 형태소이다.
실질 형태소는 자립성이 강하고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형태소이다.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이 실질 형태소에 해당한다.
형태소의 교체는 음운론적 또는 형태론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로 구분되며,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가 존재한다. 이러한 교체 현상은 국어의 형태적 특성을 보여준다.
2.2. 교체의 종류
교체는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로 구분된다. 자동적 교체는 음운체계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며, 비자동적 교체는 음운론적 또는 형태론적 조건에 따라 일어난다.
자동적 교체에는 'ㅅ, ㅈ, ㄹ' 등의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값도, 앉더니, 흙손'에서 'ㅅ, ㅈ, ㄹ'이 각각 탈락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비자동적 교체에는 이/가, 듣-/들-와 같이 교체가 음운론적 또는 형태론적 조건에 따라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가와 같은 경우 교체가 형태론적으로 조건되며, 듣-/들-와 같은 경우 교체가 음운론적으로 조건된다.
교체는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가, 을/를과 같은 경우 규칙적 교체에 해당하지만, 용언의 불규칙 활용이나 형태적으로 조건된 교체는 불규칙적 교체에 해당한다.
따라서 국어의 교체 현상은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로 구분되며, 이러한 다양한 교체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단어와 단어의 구성 요소
3.1. 접사의 종류
접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접두사는 단어의 앞에 붙어 그 단어의 의미를 더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체언에만 결합되는 접두사로는 '개-, 군, 날-, 돌-, 들-, 맨-, 선-, 숫-, 알-, 풋-, 홑-'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용언에만 결합되는 접두사로는 '되-, 드-, 들-, 밧-, 설-, 새(샛)-, 시-, 엇-, 짓-, 치-, 휘-'와 같은 것들이 있다. 둘 다에 결합되는 접두사로는 '갓-, 덧-, 올(오)-, 헛-'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접미사는 단어의 뒤에 붙어 그 단어의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파생명사를 만드는 접미사로는 '-가/-꾼/-꾸러기/-님/-들/-보/-뱅이/-새/-씨/-아리/-아지/-어치/-자/-장이/-질/-치/-희'와 같은 것들이 있다. 또한 파생동사를 만드는 피동접미사로는 '-이/히/기/리'가 있고, 사동접미사로는 '-이/히/기/리/추/구/우/애/이우'가 있다. 파생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로는 '-답/롭/스럽/지/히'와 같은 것들이 있다. 파생부사를 만드는 접미사로는 '-이/사리/오/우/히', '-오/우' 등이 있다.
이처럼 국어에는 다양한 접두사와 접미사가 존재한다. 이들은 단어를 파생시키거나 그 의미를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2. 단어 구조와 단어 형성
단어의 구성 요소는 크게 접두사와 어간, 접미사로 나눌 수 있다. 접두사는 단어의 앞에 붙어 의미를 더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접미사는 단어의 뒤에 붙어 단어의 품사를 바꾸거나 의미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접두사와 접미사를 활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단어 형성 과정이다.
단어 형성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접두파생, 접미파생, 합성, 준말 형성 등이 있다. 접두파생은 접두사가 단어 앞에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이고, 접미파생은 접미사가 단어 뒤에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이다. 합성은 두 개 이상의 자립 형태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이며, 준말 형성은 기존 단어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어 형성 과정을 통해 국어는 지속적으로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