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건강사정 기말고사
1.1. 여성생식기 건강사정
여성의 생식기 건강을 사정하는 것은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는 다각도의 평가 과정이다. 여성은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한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문진, 신체사정, 임상검사 등을 통해 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문진에서는 건강력, 성생활력, 월경력, 심리사회력 등을 파악하여 사춘기, 가임기, 중년기 등 각 시기의 특징적 건강 문제를 확인한다. 신체검진에서는 복부, 유방, 생식기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상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자궁경부세포검사, 습식도말검사, 골다공증 선별검사 등의 임상검사를 통해 질병 여부를 확인한다.
이처럼 여성생식기 건강사정은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생활 기능을 사정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을 갖춘 사회복지사와 의료 인력이 협력하여 이를 수행하게 된다.
1.2. 여성건강사정의 목적
여성건강사정의 목적은 질병의 예방과 조기 발견, 건강의 유지·증진을 강조하는 다체계적 평가이다. 여성생식기 건강사정의 목적은 문진, 신체사정, 임상검사를 통해 여성의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며,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증진시키는 것이다. 여성의 과거력과 주호소, 가족력, 성생활력, 산과력, 월경력, 심리사회력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여성의 건강 상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문제를 사정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 증진을 도모한다.
1.3. 문진
건강력 조사는 현 임신력과 함께 과거력, 가족력, 성생활력, 산과력, 월경력, 심리사회력 등을 포함한다. 과거력과 주호소는 현재 호소하는 증상이나 질병의 발병 시기와 경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가족력은 유전적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가족의 기능까지도 사정한다. 성생활력은 성행동, 성정체성, 성적 불편감 등을 파악한다. 산과력에서는 임신, 분만, 유산 경험을 조사하고, 월경력은 초경 경험,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등을 포함한다. 심리사회력은 생애주기별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사춘기, 가임기, 중년기, 노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이를 통해 여성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 수준을 사정할 수 있다.
1.4. 신체검진
여성생식기 건강사정에서는 복부검진, 유방검진, 생식기검진이 포함된다. 복부검진 시 복부의 윤곽과 하복부 장기 상태를 확인한다. 유방검진에서는 유방자가검사, 임상유방검사, 유방촬영술이 이루어진다. 유방자가검사는 20세 이상 여성이 매달 월경 시작 후 5~10일 사이에 실시한다. 임상유방검사는 20~39세 여성에게 매 3년마다, 40세 이상 여성에게 매년 정기적으로 시행한다. 유방촬영술은 유방암 선별과 유방덩어리 진단에 사용된다. 생식기검진에서는 외부생식기와 내부생식기를 확인한다. 외부생식기 검진은 18세 이상 여성과 성접촉한 18세 이하 여성이 매달 실시한다. 내부생식기 검진에서는 질경검진을 통해 질과 자궁경부를 시진하고 양손진찰법으로 자궁을 촉진한다. 이러한 신체검진은 여성 건강상태를 포괄적으로 사정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실시된다.
1.5. 임상검사
자궁경부세포검사(Papanicolaou test)는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자궁경부암 발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골반검사를 할 때 HPV검사를 시행한다. 자궁경부 암 발생 전 단계에서 세포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며, 편평원주세포가 만나는 경계부위인 편평원주접합부에서 표본을 채취한다. 검사 전 질 세척, 질약, 성교(24시간) 금하며, 검사는 월경주기가 아닐 때 실시한다.
습식도말검사(wet mount)는 매독, AIDS, 질염 등을 검사할 수 있으며, 월경 중, 지난 48시간 내 목욕, 질세척, 질 윤활제, 질 삽입물을 사용한 경우 금기이다. 채취부위는 편평원주상피세포 접합부와 후질원개이다.
골다공증선별검사(BMD)는 T-score -2.5이하인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하며, 여성에서 골다공증 발생률이 더 높다. 에스트로겐은 뼈를 성장시키고 비타민 D를 활성화하여 칼슘 흡수를 돕는다.
2. 사춘기 여성의 발달
2.1. 신체적 변화
임신으로 인한 여성의 신체적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임신 중 자궁의 크기, 모양, 위치가 변화하며, 자궁경부와 자궁협부가 부드러워진다. 또한 임신에 따라 자궁-태반 혈류가 증가하며, 이는 임부의 총 혈액량의 1/6을 차지하게 된다.
자율신경계의 변화로 인해 안면홍조, 열감, 발한, 감각저하 및 저림, 심계항진, 두통, 어지러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