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바람직한 교육이란 무엇인가
1.1. 들어가며
어렸을 적에 친구와 자주 불렀던 동요 '피노키오 노래'의 가사를 다시 보며, 어린 시절 아이가 바랐던 것과 현실의 교육 사이에 큰 괴리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아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마음껏 하고 싶어 했지만, 실제로는 학교와 학원, 독서실을 오가며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이 학생 개개인의 행복보다는 입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기회에 스스로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육이 무엇이고 행복한 교육은 어떠한 것인지 탐구해 보고자 한다.
1.2. 사전적 의미의 "바람직한 교육"
사전적 의미의 "바람직한 교육"이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쳐 인격을 길러주는 것을 바랄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즉, 사전적 의미에서 바람직한 교육이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한 교육이란 자신과 가족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읽은 '북유럽에서 날아온 행복한 교육이야기' 책을 통해 핀란드의 교육은 학생이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내고 적성에 맞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격려하는 것이 목표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입시위주 교육과는 매우 대조적인 것으로, 바람직한 교육이란 학생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3. 넓은 의미의 "바람직한 교육"
바람직한 교육이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쳐 인격을 길러주는 것을 바랄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적어도 자신과 가족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바람직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핀란드의 교육에서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좋은 학교 진학이 교육의 목표가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가장 좋은 미래를 찾아가도록 돕는 것이 의무교육의 참 뜻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입시를 위한 교육이 바람직한 교육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성교육이나 안전교육은 도외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심폐소생술 시행 가능 인구비율은 매우 낮고, 수영교육 시간도 부족하다. 또한 성교육 시간은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렇듯 입시 위주의 교육 때문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이 소홀히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과 성교육을 체계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안전교육은 연령별로 차별화된 내용으로 구성하고, 실제 상황을 가정한 실습 위주로 운영해야 한다. 성교육 또한 연령별 및 학교급별로 맞춤형 내용을 다루어야 하며, 성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외에도 감성교육의 강화, 종교와 윤리 교육의 중요성 인식, 명상 교육의 도입 등이 행복한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 감성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감성을 일깨워주고, 종교와 윤리 교육으로 타인과 사회를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명상 교육은 학생들의 스트레스 해소 및 마음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결국 바람직한 교육이란 단순히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을 위한 교육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안전교육, 성교육, 감성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구체적인 적용과 방향
2.1. 안전교육의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