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Tlh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근종(Uterine Myoma)의 이해
1.1. 정의 및 원인
1.2. 발생 빈도와 호발 연령
1.3. 근종의 유형
1.4. 증상
1.5. 진단
1.6. 치료 및 간호
2. 복강경하 자궁적출술(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2.1. 정의
2.2. 적응증
2.3. 장점
2.4. 단점
3. 수술간호
3.1. 수술 전 간호
3.2. 수술 중 간호
3.3. 수술 후 간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근종(Uterine Myoma)의 이해
1.1. 정의 및 원인
자궁근종은 평활근세포에서 발생되어 근종 또는 평활근종으로 불리며,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이다. 이는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가 가지고 있을 만큼 흔한 질환이며, "여성의 감기"라고도 불린다. 자궁근종의 정확한 발생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에서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자궁근종의 성장이 에스트로겐에 의존적이라고 파악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근종이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발생이 드물며, 특히 폐경기 이후에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1.2. 발생 빈도와 호발 연령
자궁근종은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가 가지고 있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다. 이로 인해 자궁근종은 "여성의 감기"라고도 불린다. 이는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 가능하지만 30~45세에 주로 호발되고 폐경기 이후에는 대개 크기가 줄어든다.
1.3. 근종의 유형
자궁근종은 발생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자궁체부 또는 경부, 광인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자궁벽의 발생부위에 따라서는 간질 또는 근층내근종(intramural myoma), 장막하근종(subserosal myoma), 점막하근종(submucosal myoma)으로 분류된다.
간질 또는 근층내근종은 자궁근층 내 발생하며, 발생빈도는 80%이다. 주위 조직과 가성외피에 의해 경계가 분명하며 침윤이 없다. 근종이 근층 내 깊숙이 위치하여 자궁 자체가 비대해진 것으로 보이며 자궁내막 조직 면적이 넓어지므로 월경량이 증가된다.
장막하근종은 자궁의 외막인 장막층으로 성장하며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며, 발생빈도는 15%이다. 장막하 근종은 늘어져서 육경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광인대를 따라 내려가 광인대 사이에 존재할 경우 인대내근종(intraligamentary myoma)이 되기도 한다. 이 경우 장공동맥과 요관을 압박하여 진단이 어려워지거나 난소 종양과 혼돈하기 쉽다. 장막하근종이 자궁에서 떨어져 대망막에서 혈액공급을 받아 성장한 것은 기생근종 또는 만유근종으로 명명된다.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여 자궁강으로 돌출되며 발생빈도는 5%이다. 특히 출혈이 많거나 육종성 변성, 감염, 화농, 괴사 등의 합병증 발생이 높다. 육경근종은 점막하근종이 육경이 있으며, 자궁경부로 돌출된 것이다.
1.4. 증상
자궁근종은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약 25%의 환자에서는 증상을 호소한다. 가장 일반적인 수술 적응증이...
참고 자료
박은영 외 5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박영주 외 5명. 여성건강간호학 II. 현문사.
"전신 마취," 아주대학교 병원 - 마취통증학과, n.d. 수정, https://ts.ajoumc.or.kr/EP/View.aspx?smpc=DH00200009&ssc=0020&ssgc=DH&mc=DH00200010.
"상처와 피부감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n.d. 수정, https://labtestsonline.kr/conditions/wound-skin-infection.
임승혁∙하유신∙손동완, "카테터 관련 요로감염의 치료와 예방,"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지 4 no.2 (2009): 159-169.
"출혈의 증상과 징후," 서울아산병원, n.d. 수정,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61&diseaseKindId=C00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