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긴장성 기흉의 개요
1.1. 기흉의 정의와 원인
기흉은 자연적 또는 외상에 의해 늑막강내에 공기가 차는 것이다. 흉부외상이 있는 환자에게 기흉은 폐실질조직이나 기관지 또는 식도열상의 결과로 종종 발생한다. 환자의 임상적 상태는 공기의 누출비율과 상처의 크기에 달려있다. 자연기흉은 외상없이 침범된 폐의 공기가 빠지고 늑막강에 공기의 유입이 갑자기 일어난 상태이다. 개방성기흉은 호흡을 시도할때마다 흉강안과 밖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긴장성 기흉은 흡기때 늑막강으로 들어온 공기가 호기때 나가지 못하면서 폐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늑막강내압이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이다. 긴장성 기흉은 자주 폐쇄성 기흉이 악화되어 발생하며 Intubation with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을 시행중인 환자들에게 자주 발생한다. 자연적 기흉(이를 테면, 수포의 파열) 또한 폐의 손상된 부분을 밀봉하지 않아 누출되면 긴장성 기흉으로 악화될수 있다. 관통상도 긴장성 기흉의 원인이 된다. 삽관을 하고 있는 단순성 인공호흡기를 사용할 경우, 압력이 손상된 폐에서 늑막강으로 공기를 밀어내게 된다. 늑막강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폐의 외벽에 압력을 주게 되고 결국 폐는 허탈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급속하게 진행하여 Hypoxia, Acidosis, Shock 상태를 유발한다.
1.2. 긴장성 기흉의 병태생리
긴장성 기흉은 자연적 또는 외상에 의해 늑막강내에 공기가 차게 되는데, 이때 흡기 시 늑막강으로 들어온 공기가 호기 시 나가지 못하면서 폐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늑막강내압이 상승하게 되어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이다.
긴장성 기흉은 종종 폐쇄성 기흉이 악화되어 발생하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자연적 기흉, 즉 폐의 손상된 부분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경우에도 이를 밀봉하지 않으면 긴장성 기흉으로 악화될 수 있다. 또한 관통상도 긴장성 기흉의 원인이 된다.
인공호흡기를 사용할 경우, 압력이 손상된 폐에서 늑막강으로 공기를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늑막강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폐의 외벽에 압력을 주게 되고, 결국 폐는 허탈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급속하게 진행하면 저산소증, 산증, 쇼크 상태를 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