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증치매노인을 위한 중재 및 지원 서비스 제안서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중증치매노인의 특성 및 문제점
1.2. 중증치매노인 돌봄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배경
2. 중증치매노인을 위한 중재 및 지원 서비스
2.1. 방문간호 서비스
2.2.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2.3. 가족 및 돌봄제공자 지원 서비스
2.4.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협력 체계 구축
3. 중증치매노인 중재 프로그램 제안
3.1. 대상자 선정 및 사정
3.2. 프로그램 목표 및 구성
3.3. 서비스 제공 방안 및 전달체계
3.4. 기대효과 및 평가 계획
4. 결론
4.1. 연구 요약 및 제언
4.2.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중증치매노인의 특성 및 문제점
중증치매노인의 특성 및 문제점이다. 중증치매노인들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이 매우 저하되어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상태이다. 거동이 불편하고 일상생활동작 수행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치매로 인해 기억력, 판단력, 문제해결 능력 등의 인지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회, 공격성, 우울, 불안 등의 정신행동증상이 빈번히 나타나며, 전반적인 생활에서 의존적인 모습을 보인다. 가족들의 부양 부담이 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가 원활하지 않아 돌봄이 어려운 상황이다. 중증치매노인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일상생활이 어려우며, 가족 부양 부담과 지역사회 자원 연계 미흡으로 돌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1.2. 중증치매노인 돌봄의 필요성
중증치매노인 돌봄의 필요성이다. 중증치매노인은 정신적·신체적 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이들에게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 중증치매노인의 증가와 더불어 이들을 돌보는 가족들의 부담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중증치매노인과 그 가족들을 위해 다양한 중재 및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중증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족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3. 연구 목적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배경
중증치매노인의 특성 및 문제점, 이들에 대한 돌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증치매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중증치매노인은 인지기능 저하와 함께 신체적 기능 장애가 동반되어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이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방문간호 서비스,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가족 및 돌봄제공자 지원 서비스,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 다각도의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중증치매노인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대상자 선정, 프로그램 구성, 서비스 제공 방안, 기대효과 및 평가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중증치매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2. 중증치매노인을 위한 중재 및 지원 서비스
2.1. 방문간호 서비스
방문간호 서비스는 노인 장기요양보험법에 따라 장기요양인정 신청을 하여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이들에게 제공된다. 이들에게 방문간호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간호, 진료의 보조,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 등을 제공한다. 방문간호 서비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 및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노인의 생활 및 신상에 관한 상담 서비스와 장애노인 및 보호자에 대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방문간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본적인 간호 필요 욕구를 충족시키고 일상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한다. 간호사정 및 진단, 기본간호, 욕창치료 및 단순 상처치료, 검사 관련 업무, 투약 관리 지도, 교육훈련, 상담 등이 포함된다.
셋째, 복약관리, 모니터링, 재활, 식이요법 관리, 사회복지 상담, 긴급 방문 진료, 재가암환자 등록 및 관리, 노인 허약 예방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노인의 건강 증진과 자가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방문간호 서비스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의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간호 인력 부족, 의료 서비스와의 연계 부족, 수급자 범위와 급여 내용gn("AND")
570 if field == nil
571 return existing_exp
572 else
573 return MiqExpression.new("AND" => [existing_exp, field])
574 end
575 when "OR"
576 if field == nil
577 return existing_exp
578 else
579 return MiqExpression.new("OR" => [existing_exp, field])
580 end
581 when "NOT"
582 if field == nil
583 return existing_exp
584 else
585 return MiqExpression.new("NOT" => [existing_exp, field])
586 end
587 else
588 return MiqExpression.new(existing_exp.merge({"#{operator}" => [field]}))
589 end
590 end
591
592 def preprocess_for_sorting(includes)
593 includes_hash = includes.kind_of?(Array) ? {:include => includes} : includes.dup
594 includes_hash.keys.each do |key|
595 klass = nil
596 reflection = nil
597 case key
598 when :include
599 new_includes = includes_hash[:include]
600 includes_hash[:include] = preprocess_for_sorting(new_includes)
601 when String, Symbol
602 klass = key.to_s.classify.constantize
603 reflection = klass.reflect_on_association(includes_hash[key][:associations].keys.first)
604 includes_hash[key][:vm_filter] = true if includes_hash[key][:associations].values.first.kind_of?(Hash) &&
605 includes_hash[key][:associations].values.first[:include]
606 when Hash
607 key.keys.each do |new_key|
608 klass = new_key.to_s.classify.constantize
609 reflection = klass.reflect_on_association(key[new_key][:associations].keys.first)
610 key[new_key][:vm_filter] = true if key[new_key][:associations].values.first.kind_of?(Hash) &&
611 key[new_key][:associations].values.first[:include]
612 end
613 end
614 if reflection
615 includes_hash[key][:associate_manual_sort] = true if reflection.macro == :has_and_belongs_to_many
616 end
617 end
618 includes_hash
619 end
620
621 def preprocess_includes(includes)
622 includes.each do |key, value|
623 if key == :include
624 includes[:include] = preprocess_includes(value)
625 else
626 klass = key.to_s.classify.constantize
627 reflection = klass.reflect_on_association(value[:associations].keys.first)
628 if reflection.macro == :has_and_belongs_to_many
629 value[:custom_sql] = get_includes_where_clause(reflection)
630 end
631 end
632 end
633 end
634
635 def get_includes_where_clause(reflection)
636 foreign_key = reflection.foreign_key
637 join_table = reflection.options[:join_table]
638 primary_key = reflection.active_record_primary_key
639 "#{join_table}.#{foreign_key} = #{reflectio...
참고 자료
이상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서비스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 201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변도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 서비스의 중요도 성과도, 201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변도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 및 개선방안, 2012, 박사학위논문
이지원, 초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건강의료분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7, 법학연구
윤은자(2018). 노인간호학. 경기도(수문사)
햇빛나눔: http://sunnanum.com/p19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www.kacold.or.kr
보건복지부: www.mohw.go.kr
파주시 보건소: clinic.paju.go.kr/clinic/index.do
광주광역시 서구 보건소: www.seogu.gwangju.kr/health
성남시 보건소: https://www.seongnam.go.kr/health/1001388/10965/contents.do
보건복지포럼-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research/view.do?menuId=45&tid=71&bid=12&division=001&ano=2387
한겨례 북서울복지센터: https://blog.naver.com/hopewelfare/100112684227
방문 간호 서비스 정의_다한다연구소: https://blog.naver.com/colorbinu?Redirect=Log&logNo=221747987729
사랑샘노인복지센터: https://blog.naver.com/bitnaeri2000/221041133834
JS통합재가복지센터: https://blog.naver.com/snh0601/221736068908
의협신문: http://www.doctorsnews.co.kr
고경애 (2016).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전북.
고미숙, 정희진, 김태형, 장회익, 남경아, 유경 (2016). 나이듦 수업. 경기: 서해문집.
김도연 (2016). 관찰표현력 신장을 위한 그림일기 지도방안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선명 (2015).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美術治療硏究, 22(2), 603-634.
김소영 (2015). 메타인지를 활용한 감사일기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김영미 (2001). 치매노인에 대한 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김영숙 (2002). 치매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서울: 교육과학사
김지현 (2014). 감사노트 쓰기 활동이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춘미, 박명숙, 김선호 (2012). 국내 치매노인을 위한 비약물요법 중재연구 동향분석. 노인간 호학회지, 14(2), 129-141.
김호식, 정미녀, 손경숙 (2005). 노인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책 연구. 한국 정책과학학회보 9(1). 73-93.
단정와, 이재모 (2006). 집단미술요법 프로그램이 치매노인 인지기능과 의사소통 증진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33, 71-102.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7). 신경정신의학. 서울: 중앙문화사.
박선민 (2014). 감사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진혁, 허서윤 (2018). 일화기억 훈련이 경도치매 노인의 기억 및 이마앞엽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대한인지재활학회지 7(2), 5-25.
반주영 (2003).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가 초임부의 분만심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구.
보건복지부 (2019). http://치매국가책임제.nid.or.kr/ (2019년 12월 6일 검색).
유애리 (2013). 치매예방통합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남.
윤인선 (2017). 선행감사일기 쓰기와 소감 나누기가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전
이경영 (2002).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이경은 (2019). 노인에서 인지기능,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그림일기의 효과.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북.
이 민 (2015). 통합학급에서 감사일기 쓰기와 일반학생의 장애수용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이석범, 김기웅 (2009).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비약물적 개입. 대한의사협회지, 52(11), 1069-1076.
이영숙 (2001). 집단미술요법이 노인의 회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춘천.
이예진 (2018). 긍정적 피드백을 활용한 감사일기 쓰기 활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지영 (2014). 일반노인의 치매 관심도와 치매지식 정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정여주 (2006). 노인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조영숙 (2009). 감각활동 중심의 집단 미술치료가치매노인의 기억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효과.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최귀애 (2014). 감사일기 쓰기가 중학생의 적응유연성 및 학교생활만족도 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최성재, 장인협 (2010).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 문화원.
최지후 (2019). 노인의 일기쓰기 경험과 내용·기술특성에 따른 의미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북.
한승의, 김경희, 정연강, 전인의 (2011). 관학 연계 주간보호센터 사업 운영 프로그램 개발, 동작구민을 대상으로, 중안간호논문집, 5(2), 99-108.
Dharma Singh Khalsa, Cameron Stauth. (2006). 치매 예방과 뇌 장수법. 장현갑 외 옮김. 서울: 학지사.
Economou, A., Routsis, C. & Papageorgiou, S. G. (2016). Episodic memory in Alzheimer disease, frontotemporal dementia,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Parkinson disease: Disentangling retrieval from consolidation.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30(1), 47-52.
Erikson, E. H. (1997). The Life Cir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New York & London: Norton.
Kim, K. W., Kim, B. J., Kim, S. Y., Kim, S. G., Kim, J. R. & Kim, T. H. et al. (2012). 2012 Nationwide survey on the epidemiology of Korea.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2011).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care management. Seoul: Author.
Olazaran, J., Reisberg, B., Clare, L., Cruz, I., Pena-Casanova, J., DelSer, T. & Spector, A. (2010).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30(2), 161-178.
Sobou, T. (2006). Alzheimer’s disease as preventable illness j A risk factors based approach. Akfualnosci, Neurology, 6(2), 88-94.
Statistics Korea (2015). 2015 Aged statistics. Daejeon, Korea: Author.
Wing, J. F., N. S. Schuttle & B. Byrne. (2006). The Effect of Positive Writ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2(10). 1291-1302.
오미성 외. 지역사회간호학. 2017. 퍼시픽북
오마하시스템 간호과정
조경숙 외. 제 6판 성인간호학 (하). 2016. 현문사
최영희 외. 제 5판 노인과건강. 2015.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