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 근로자 문제에 대한 실현가능한 정책제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인 근로자 문제에 대한 실현가능한 정책제안
1.1. 문제 현황
1.2. 한국의 다문화 정책 및 보건의료 정책 분석
1.3. 독일의 다문화 정책 및 보건의료 정책 사례
1.4. 한국과 독일 정책의 비교 및 시사점
2. 정책 제안
2.1. 고령인구 및 여성의 일자리 고용 증대와 고용 개혁
2.2. 청년층 노동력 증가를 위한 지원
2.3. 외국 이민자 수용을 통한 노동력 부족 해소
2.4. 고령자 의료 관리 체계 개선
2.5. 고령자의 문화·여가·사회참여 확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인 근로자 문제에 대한 실현가능한 정책제안
1.1. 문제 현황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급격한 인구 고령화를 겪고 있다. OECD 국가 중에서도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2060년에는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43.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고령화와 더불어 저출산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인구 구조의 변화로 인해 생산 연령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이는 곧 노동력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동시에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의료비 지출 부담과 돌봄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나, 정책 간 연계성 부족과 예산 지출의 비효율성 등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여성과 청년층, 외국인 이민자 등 잠재 노동력에 대한 고용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고령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다양한 정책 수단을 통해 인력 자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1.2. 한국의 다문화 정책 및 보건의료 정책 분석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 이주자, 외국인 유학생, 북한 이탈 주민 등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게 되면서 사회 전체의 건강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현재 한국은 이주민 복지 정책, 의료 정책 등이 미흡한 수준이다. 늘어나는 외국인들의 유입과 다문화 가정이 급증하면서 급격히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나타나는 가운데 다문화 정책과 의료 보건 정책이 미흡한 것은 장기적으로 사회 전체의 건강 수준을 낮추는 부정적인 기제로 작용할 것이다.
정부의 다문화 정책 목표는 '외국인과 더불어 사는 열린 사회의 구현'이며, 정부의 다문화 정책은 '제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따른 합법적 외국인(합법적 단기 체류 외국인, 국제결혼 이민 여성, 다문화 가족 자녀, 귀화 외국인, 난민)에 국한되어 있다. 주민 관련 사업 중 여성 결혼 이민 가족 관련 정부 정책은 2008년 정부 조직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되었으며, 그 중 보건의료 관련 사업은 '생활 안정 지원 강화 사업'에 해당된다. 이외에도 지방자치 단체, 시민단체, 종교 단체가 주체가 되어 다문화 정책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정 보건의료 관련 정책 및 현황을 경상남도의 예를 통해 살펴보면, 주 외국인 전체 대상 활동, 외국인 근로자 대상 지원 사업, 결혼 이민자 대상 활동, 시나 군별로 시행하고 있는 보건의료 관련 사업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행사 및 축제, 교육사업, 의료 서비스 지원 사업, 생활안내서 제작, 한글 및 문화 교육, 인권 교육, 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결혼 이민자 가정방문 건강 관리, 가임기 여성 건강증진 및 임산부 관리사업, 불임부부지원·산모 신생아 도우미 지원, 임산부 영양제 지원, 임산부 풍진 검사 사업, 출산 장려지원금, 외국인 이주 여성 영유아 예방 접종 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한국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다문화 정책 및 보건의료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체계적이고 종합...
참고 자료
이영란 외.(2021). 개정 8판 원론 지역사회간호학 신광출판사, 서울:신광출판사
여성가족부 주제별 정책자료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2023.04
메디게이트뉴스, 독일의 의료보험 제도: 보험자와 공급자간 형평성 유지, 의사단체와 민간보험 인정, 2022.01.05
https://m.medigatenews.com/news/2440451695
정면숙,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간호학의 지평 제 6권 1호
주성훈,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과제, 예산현안분석 제38호, 2010.11
김정진, ‘국가별 다문화 가족정책의 비교”, 참여연대, 2010, 04. 04.
강수돌. ‘독일 내 국제이주노동자 현황과 정책’. 2005. FES-informationSeries
이창우. ‘‘주요국의 민영건강보험의 운영체계와 시사점‘, 2010 보험연구원 조사보고서
정면숙.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https://m.medigatenews.com/news/244045169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92990
다문화가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ISSN 2092-7117 제 185호 (2013-15) 발행일 : 2013. 04. 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다문화 가족지원포털 : 다누리, https://www.liveinkorea.kr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913036233988.pdf
[7.27.수.조간]_『OECD_보건통계_2022』로_보는_우리나라_보건의료_현황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72297&page=1
https://www.oecd.org/health/germany-country-health-profile-2021-e4c56532-en.htm
손윤석(2011).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권 보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