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SRD 염증과 관련된 급성통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환자 선정 이유
2. 문헌고찰
2.1. 말기신부전의 정의
2.2. 병인과 병태생리
2.3. 임상증상
2.4. 진단검사
2.5. 치료 및 간호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과 계획
3.2.1. 감염의 위험
3.2.2. 낙상의 위험
3.2.3. 신체손상의 위험
3.3. 간호중재와 평가
4. 사례보고
4.1. 일반정보
4.2. 입원 배경 및 병력
4.3. 검사결과 및 처치
4.4. 간호과정 적용
5. 결론 및 고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 선정 이유
말기신부전 환자의 간호사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말기신장질환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말기신장질환은 신장 기능 저하에 따라 다양한 체내 장기에 부전을 야기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이 환자의 간호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말기신장질환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것이 이 대상자를 선정한 이유이다.
2. 문헌고찰
2.1. 말기신부전의 정의
말기신부전(end-stage renal disease, ESRD)은 만성신부전의 말기 단계로, 신장 기능이 정상인의 10% 이하로 감소하여 생명 유지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만성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콩팥기능의 상실로,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1.73㎡ 이하(정상 범위 125mL/min/1.73㎡)일 때를 말한다. 사구체여과율이 15mL/min/1.73㎡ 미만으로 떨어지면 말기신장질환(ESRD)이 된다. 이 경우 신장기능 대체요법인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2.2. 병인과 병태생리
말기신부전의 병인과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신장은 70~80%가 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효과적인 사구체여과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손상 받은 신장단위가 기능을 하지 못해도, 남은 정상 신장단위가 이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기 신질환은 신장의 90%가 기능하지 못하여 보상기전이 파괴된 상태이다. 그 결과로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고, 소변생성과 수분배설에 이상이 오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면 혈청요소질소와 혈청크레아니틴이 상승하고, 전해질 부분에서는 적절한 칼륨 배설이 되지 못하여 고칼륨혈증, 다량의 수분이 정체되어 희석성 저나트륨혈증, 마그네슘을 적절히 배설하지 못하여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난다.
신장기능상실은 심혈관계와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수분과 나트륨이 정체되어 혈류량이 과다해져 고혈압이 발생한다. 또한 신장혈류가 감소하면 신장은 신장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renin을 더 많이 방출하여 angiotensin과 aldosterone의 생성을 자극한다. angiotensin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여 치료하기 힘든 악성고혈압을 발생시킨다. 요독성 심낭염은 요독성 물질이 심낭에 자극을 주어 염증이 발생한 것이다. 요독성 심남염은 사망을 일으키는 심낭삼출과 심장눌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계 부분에서는 신장기능상실로 인하여 질소성노폐물의 증가, 전해질불균형, 대사산증, 신경섬유의 수초탈락, 축삭의 위축이 나타난다.
말기 신질환은 이처럼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투석이나 신장이식 치료를 해야 한다.
2.3. 임상증상
말기신부전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음식맛의 변화는 흔히 콩팥기능상실과 함께 나타난다. 식욕이 없고 고기와 같은 특정 음식을 먹을 때 입안에서 금속 맛을 느낄 수 있다. 구역, 구토, 식욕부진, 딸꾹질, 설사, 변비와 같은 위장계 증상은 대사성 노폐물이나 질소성 노폐물이 축적되어 나타난다. 허약, 졸음, 숨참 등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요독증으로 인한 혈액계 변화로 비정상적인 멍이나 출혈이 생길 수 있다.이처럼 말기신부전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신장 기능 저하에 따라 축적된 노폐물로 인한 것이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간호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말기신부전으로 인한 소화기계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위염 등이 나타난다. 이는 요독증으로 인한 것으로, 신장에서 적절히 배출되지 못한 노폐물이 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위장관 증상으로 인한 영양 섭취 부족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중추신경계 증상으로는 두통, 무기력함, 피로감, 의식저하, 경련, 혼수 등이 나타난다. 이 역시 요독증에 의한 것으로, 신장에서 적절히 배출되지 못한 노폐물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의식저하나 혼수 상태는 생명에 직결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심혈관계 증상으로는 고혈압, 호흡곤란 등이 관찰된다. 신장 기능 저하에 따른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 그리고 이에 따른 심혈관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면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그 외에도 부종, 피부가려움, 빈혈, 특이한 냄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모두 신장 기능 저하에 따른 대사 이상과 관련된 것으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말기신부전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신장 기능 저하에 따른 노폐물 축적과 대사 이상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을 면밀히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2.4. 진단검사
말기신부전의 진단검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변검사의 경우, 소변분석검사와 함께 24시간 소변creatinine과 요소청소율을 검사한다. 말기신부전의 초기단계에서 요중단백질, 포도당, 적혈구, 백혈구는 증가하고 요비중과 소변삼투질 농도 및 creatinine 청소율은 저하된다. 또한 요중 알부민 대 creatinine의 비율 검사에서 creatinine 1g 당 알부민이 300mg이상이면 만성신부전을 의미한다. 말기신부전이 악화되면 소변배설량은 뚜렷하게 감소한다.
혈액검사의 경우, 혈청 creatinine은 몇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5~30mg/dl까지 도달한다. 혈청요소질소는 식사를 통한 단백질 섭취와 직접 관련되어 단백질 식이를 ...
참고 자료
현문사. 성인간호학 제 7판 하권. 황옥남 외. 108~169p
현문사. 성인간호학 제 7판 상권. 황옥남 외. 235~260p
약물조사: KIMS http://www.kimsonline.co.kr/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48~167쪽
서울아산병원, 말기 신질환, 2020. 6. 5 인용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48
삼성서울병원, 말기 신질환, 2020. 6. 5 인용,
http://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14f16&CONT_SRC=CMS&CONT_ID=1496&CONT_CLS_CD=001020001006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56~157쪽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56쪽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CRP 검사, 2020. 6. 6 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716&cid=63166&categoryId=51020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65쪽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64쪽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복막 투석, 2020. 6. 6 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95&cid=51007&categoryId=51007
질병관리본부, 복막투석, 2020. 6. 6 인용
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280
서울아산병원, 데노간 주, 2020. 6. 6 인용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DENOG1G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57쪽
TERUO WATANABE, 쉽게 배우는 아틀라스 병리학, 의학교육, 2016, 323쪽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낙상 예방, 2020. 6. 7 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9181&cid=63166&categoryId=51019
드럭인포, Renalmin, Feroba, Espogen -prefiled, 2020. 6. 7 인용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11114
삼성서울병원 건강칼럼, 낙상 예방, 2020. 6. 7 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9181&cid=63166&categoryId=51019
TERUO WATANABE, 쉽게 배우는 아틀라스 병리학, 의학교육, 2016, 323쪽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51쪽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56쪽
질병관리본부, 만성신부전, 2020. 6. 7 인용
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200#tagID5
드럭인포, 레날민정, 2020. 6. 7 인용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11114
황옥남, 유양숙, 성인간호학 하권, 7판, 현문사, 2019년, 156쪽
생명과학대사전, 신장성골형성장애, 2020. 6. 7 인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92639&cid=60261&categoryId=60261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쉽게 배우는 중환자 간호 (정담미디어)
혈액투석간호 (병원투석간호사회)
서울아산병원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