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청소년 사례관리 및 지역센터 관리
1.1. 아동청소년 사례관리
1.1.1. 사례 발견
사례 발견은 사례관리 과정의 첫 단계로, 어떠한 사업에 참여하기에 적합한 대상자(클라이언트)를 발굴하는 것이다. 본 사례에서는 담당 사회복지사가 복지관의 스크리닝 기준을 확인하여 클라이언트를 잠재적 사례관리 대상자로 분류하였다. 담당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모와 연락하여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의사를 확인하고 가정방문을 통해 인테이크를 실시하였다. 인테이크 과정에서 클라이언트 가족의 경제상황, 주거환경, 건강상태, 사회심리적 상황 등 자료를 수집하여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정신장애 2급 청소년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어려움 등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를 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1.1.2. 사정
클라이언트의 개인사정을 살펴보면, 클라이언트 모와 조부모님은 경제적인 문제와 자녀양육에 무관심과 섭섭함 등으로 한지붕 두가족의 형태로 생활하고 있고, 클라이언트와 동생의 학교중퇴 후 자녀양육의 어려움으로 심리적인 갈등관계에 있다. 경제상황은 수입 월 평균 50만원(클라이언트 모 취로사업 30만원, 부업 20만원), 지출 월 평균 50만원(생활비 41만원, 자녀용돈 5만원, 의료비 3만원)으로 저소득 가정이다. 주거환경은 24평 연립으로 낡고 노후된 주택이며, 의료 측면에서는 클라이언트가 2001년부터 정신분열병으로 병원 입원 치료 경력이 있다. 현재 클라이언트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약물 복용 중이며, 무기력과 사회적 관계 기피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클라이언트 및 가족의 욕구는 클라이언트와 동생의 의료, 건강, 심리, 사회적 욕구가 강하며, 가족 내 갈등 관계 개선에 대한 욕구도 있다. 자원활용 면에서는 취로사업을 통한 소득, 의료보험 이용 외에 비정기적인 교회와 이웃의 지원이 있으나 지역사회 전문기관과의 연계는 부족한 편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정신건강 관리, 신변처리 및 사회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
1.1.3. 계획
사례회의를 통하여 결정된 서비스 및 개입 내용을 클라이언트를 만나 설명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동의서에 서명함으로써 우리 기관과 계약이 성립되어 서비스 계획에 의해 서비스 연결 및 개입을 실시하였다. 목표가 설정된 후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공될 서비스를 결정하며, 현재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목록을 확인하여 어떤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지 고려해야 한다. 서비스가 결정되었다면, 누가,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아동의 욕구와 센터의 상황, 지역사회의 공식적/비공식적 자원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지원 기간을 결정하는데, 물론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인데, 계획 과정에서는 어느 정도 서비스를 제공하면 목표가 달성될지를 검토하여 기간을 결정하게 된다.
1.1.4. 개입
(개입)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 진료지원, 재활프로그램 연결, 무기력에 대한 개입, 사회적응 프로그램 진행, 학교 연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동생과 관련해서는 복지관 컴퓨터실 이용, 사회적응 프로그램 진행, 컴퓨터 지원, 상담 및 가정방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조부모와 관련하여 가정방문 상담을 진행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비스제공자들의 회의를 통해 서비스 동의를 받아 서비스를 연결하고 개입을 실시한다. 클라이언트는 처음에는 병원 가는 것을 싫어했지만 점차 혼자서도 병원에 다녀올 수 있게 되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