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재 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안내서비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현재 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안내서비스의 사례
2.2. 학습자의 의견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는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다. 도서관은 더 이상 단순한 책 보관소가 아닌 다양한 정보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도서관의 정보안내서비스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안내서비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의 개선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도서관의 정보안내서비스 사례를 살펴보고 학습자의 의견을 기술하고자 한다.
2. 본론
2.1. 현재 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안내서비스의 사례
현재 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안내서비스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광진정보도서관은 '고~고(古~Go) 스토리 창작소'라는 사업명으로 창작소를 운영하고 있다. 도서관 열람실의 용도를 변경하여 녹음실, 영상편집실, 소강의실을 신설하였다. 이곳에서는 '스토리텔러 아카데미', '취업준비생을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교육', '나도 스토리텔러-지역사회 스토리 발굴', '당신의 스토리를 영상으로 담아 드립니다.-청년 창업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고 자료
김혜숙. 2013. 『서책과 디지털교과서 병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노영희. 2016. “도서관의 디지털화 수준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이정미,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한국비블리아학회지』.
임정현. 2012.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노민. "지능정보사회 노인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와 과제." 디지털정책학회지 3.1 (2024): 11-20.
황용석,황현정,and 이현주. "디지털포용 사회 구현을 위한 디지털포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5.1 (2024): 43-75.
장영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 역량 교육방안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2022.
정인관 ( Inkwan Chung ). "한국의 디지털 불평등: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4~2019 분석." 인문사회 21 12.2 (2021): 1875-1886.
온라인 프로젝트 학습. http://onlineproject.org/
이태욱. 『ICT 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강명희 외(2011). 원격교육연수에서 지각된 과제가치, ICT 활용능력,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교원교육.
강명희 외(2002). 온라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자기규제학습 촉진 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